-
-
밤은 노래한다
김연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김연수의 작품을 눈여겨보지 않았기에 <밤은 노래한다>를 처음으로 김연수의 작품 세계로 들어왔다. 왜 사람들이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를 극찬하는 것이었는지, 왜 이 책을 읽어야만 했었는지, 이제는 알 것 같다.
1930년대의 민생단 사건을 다룬다는 무거운 주제에 바짝 긴장하고 읽었다. 사실 나는 역사에 그리 해박하지 못하고 특히나 1930년대의 상황에 대해 어렴풋이 알고 있을뿐이었기 때문이다. 내가 읽었던 조정래의 <아리랑> 박경리의 <토지>를 통해서 보았던 그 시대의 그 풍경들과 내가 알고 있지 않은 낯선 이야기를 읽고 있었지만 조금도 낯설었다거나 무거운 주제에 짓눌렸다거나 하지는 않았다. 그건 아마도 작가가 가지고 있는 구성과 문체의 힘이 아니었나 싶다.
처음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생각났던 건 얼마전에 모방송사에서 재미있게 보았던 '경성스캔들'이라는 드라마가 생각났다. 거기에 나왔던 한량의 모습을 하고 있는 주인공 김해연의 모습과 겹쳤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랑하는 여자에 의해 항일투쟁에 나서게 된다는 설정 또한 비슷하게 여겨졌기 떄문이다. 하지만 드라마는 그 시대의 투쟁도 그리 어둡거나 두렵게 만들진 않았다. 조선인과 일본인의 싸움이 아닌 조선인들의 싸움을 다룬 이 책을 읽어가며 나는 더욱 깊이 빠져들었다.
1930년, 조선인들의 만주에서의 모습. 조선이라는 나라를 벗어나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찾아야겠다는 의지를 불태우던 그 많은 사람들은 민족을 위해서 죽기도 하고 당을 위해서 죽기도 한다. 하지만 정작 그들의 적인 토벌대, 일본군들에 의해 죽어가고 해체되어 간 것이 아니라 조선인이 조선인을 죽였다는 것은 충격 그 자체이다.
고등교육을 마치고 만철이라는 최고의 회사에서 일을 하게 된 김해연, 조선을 떠나 용정으로 발령을 받아 일을 하면서 일본인 중위와 친분을 나눌 정도로 오로지 자신에게 몰두해있던 한 인간이 이정희라는 여자를 만나면서 인생이 바뀌게 된다. 조선공산당원인 이정희가 마지막 자살하며 보낸 편지를 받으며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이정희의 죽음으로 자신의 모든 것을 잃게 되지만 다시 조선으로 돌아가지 않고 만주에 남아 이정희의 죽음을 캐내는 한 남자의 집요함이 낭만을 꿈꾸는 휴머니스트의 삶을 버리고 유격대원의 삶을 살게 만들고 이정희에 대한 복수를 하기에 이른다. 물론 최도식의 집앞에서 최도식을 기다리던 아이들을 보고 최도식을 살려주는 인간적인 모습은 여전히 갖고 있기에 이 소설이 갖는 미덕은 남아 있다고 보았다.
<밤은 노래한다>를 읽으면서 내내 들었던 생각은 젊은 문인의 당찬 기운을 느꼈다는 것, 그와 동시에 김연수의 팬이 되었다는 것, 그래서 다른 작품들도 찾아서 읽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