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좀비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조이스 캐롤 오츠 지음, 공경희 옮김 / 포레 / 2012년 4월
평점 :
'그'를 이해해보려고 한다. 아니, 이해하면서 읽고 싶었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하겠다. 하지만 매번 도대체 왜? 하는 질문만을 남게 된다. 그는 다른 사이코패스처럼 불우한 환경에서 태어나서 사랑을 못 받고 자란 사례도 아니고 오히려 '그'를 너무 믿는 가족들 틈에서 자란다. 그러나, 그는 그들의 사랑을 느끼지 못한다. 그저 느끼는 척 할 뿐이고 상황에 맞게 연기를 할 뿐이다.
온전하게 자신만의 생각 속에 몰두한 자. 그는 그런 사람이다.. 그래서 납치해 온 사람에게 직접 뇌수술을 해서 자신의 말에 토를 달지 않고 자신만을 섬기는 좀비를 만들고 싶어하는 서른한 살의 사이코패스이다. 그는 그게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그저 실행한다. 무모한 사람들을 납치하고 뇌수술을 한다. 그러다 실패하면 시체를 버린 물건처럼 내다버린다. 그의 감정 선에는 잘못을 판단할 능력과 죄책감은 결여되어 있다.
이쯤 되면 오히려, 작가의 특유의 차갑고 건조한 문체는 강렬하게 화려한 문체로 '악'을 표현하는 문체보다 더 폭력적이고 파괴적으로 느껴진다. 주인공 쿠엔틴이 1인칭으로 전개하는 문장들은 어린이와 같은 단순성과 지독하리만큼 솔직함 때문에 더 공포로 다가온다.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보기를 바라는 대로 정상적인 모습을 한 쿠엔틴의 모습과 그 속에 숨겨진 냉혹하고 비정상적인 모습은 겹겹이 겹치면서 등장하며 소름 돋게 한다.
작가 조이스 캐럴 오츠가 실존했던 '밀워키의 식인귀'라고 불렸던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범 제프리 다머의 이야기를 소재로 살인자의 내면을 탐구한 공포소설이라고 한다. 그러다 보니, 책 중반 쯤 읽게 되면 연쇄살인범 사이코패스의 실제 모습이 궁금해지지 않을 수 없어 인터넷으로 그를 검색하게 되고 다시 한 번 놀라게 된다. 너무나 평범해 보이는 그의 외모와 그를 광적으로 추종했던 사람들의 있다는 이야기에, 세상은 역시 복잡다단하고 다양한 사람들이 사는 곳인가 보다 하는 실없는 당연한 생각을 하게 된다. 그의 죽음 또한 비참하다. 수감 중이던 중에 다른 죄수의 구타로 사망했다고 하니까.
'좀비'를 읽다보면 예기치 않은 느낌이 슬며시 든다. 전체적인 감정은 '그'를 이해할 수 없다는 단호한 감정으로 그의 잔혹한 행동에 분노가 생긴다. 그리고 그 다음에 오는 감정은 '슬픔'이었다. 세상과 가족과 친구와 소통하지 못한 채, 자신만의 생각에 골몰했던 한 사람의 이야기가 슬프게 느껴지는 것이다. 자멸과 폭력과 파괴로 이어지는 그의 정신세계가 한 없이 슬프고 괴기스럽게 보인다. 이해하면서 읽고 싶었지만 반쯤만 이해하게 된 길고 긴 소설의 한 이야기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