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요일은 숲요일
김수나 지음 / 북노마드 / 2012년 7월
평점 :
'수요일은 숲요일'을 읽다보면 이런 느낌이 든다. 일상의 평범 속에서 특별함을 찾을 줄 알고, 볼 줄 아는 이야기에 새삼 고개를 끄덕이며 그래,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줄 알고 소박함 속에서도 이렇게 정성스럽게 하루, 하루를 살아갈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데 또 동시에 드는 생각은 왠지 모르게, 이상하게도 사치스럽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하루 시간을 내어 산에서 진달래 꽃을 꺽어 와서 정성 가득한 화전을 만들어 먹고 생일 케잌을 직접 떡을 만드는 법을 배워서 만들어 지인들과 나누어 먹고, 계절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생각하며 산행을 하고 자연친화적으로 보내는 삶이 마냥 부러우면서도 왜, 살짝 삐딱한 마음이 드는 지 모르겠다. 이것 완전 심보일 것이다. 나도 안다. 일상의 소소한 기쁨과 나누는 마음, 자연을 아름답게 볼 줄 알고 느낄 줄 알아야 하는 감성이 부족해서라는 것을.
도대체 언제부터 숲에 가서 계절이 변화에 따라 변해가는 나뭇잎을, 열매들을 세심하게 바라보고 그 속에서 기쁨을 느끼는 사람을 오히려 '사치스럽다'고 느끼게 되었을까? 정성껏 손수 만든 도시락을 만들어 지인들과 숲에서 도시락을 나누어 먹는 모습들이 마냥 부러우면서도 뭘, 그렇게까지 하는 생각이 슬쩍 드는 것일까. 그냥 좀 더 자연스러우면 안 될까? 하는 생각이 드는 거다. 더 솔직히 이야기하자면 어머니와의 담양으로의 여행은 참으로 부러워서 나중에 꼭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들도 있고 숲에서 작은 상자에 계절의 느낌을 지니는 낙엽들을 각자 모아서 함께 보는 장면 등은 오글오글 해지기도 하다. 그래서 반은 공감이 되고 반은 뻘쭘, 어색하게 느껴진다. 저자가 전하는 도심 속의 '힐링'을 전하고자 하는 마음도 알겠는데 전달 받는 이가 부족해서인지 반밖에 힐링이 안되었다. 하지만 자연을, 숲을 그대로 바라보고 세심하게 바라볼 줄 알고 느낄 줄 아는 마음만은 그대로 전해 받고 이어가고 싶다. 어쩌면 이 마음만으로도 '힐링’은 시작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새벽 산책길에 숲을, 나무를, 들꽃을, 한 여름의 하늘을 마음껏 바라보고 싶은 마음이 가득해지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