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을 범하다 - 서늘하고 매혹적인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이정원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 고전을 읽거나, 보거나 하면 왠지 모를 답답함과 불편함을 고스란히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인지 고전소설을 고리타분하고 진부한 가부장제도의 부산물로만 이해했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권선징악'으로 모든 이야기들을 이해시키고 강요하는 듯한 분위기가 마음의 불편함을 가속시켰다. 예를 들어 '심청전'은 효를 위해서는 어린 딸의 목숨을 담보로 계약을 하는 대책없는 아버지의 모습이 '효'로 포장되거나, '장화홍련전'에서는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두 딸들을 끝내 믿지 못하고 수수방관만했던 아버지의 모습은 속상함을 넘어서는 분노를 느끼게 했었다. 하지만 '효'를 내세워 그런 불만들을 차마 표현하지 못하게 했었고 가장 가부장제도의 아픔과 고통을 온몸으로 느끼는 듯했던 '홍길동전'에서는 무언가 새로운 변혁을 꿈꾸었건만 결국 율도국에서 조선의 가부장제도를 답습하는 홍길동을 보게 되면서 실망감이 생기면서 고전의 구태의연한 모습에 지치게 되었다.

하지만 '전을 범하다'에서 작가는 새로운 우리 고전소설읽기를 시도한다. 알게 모르게 불편했던 마음을 풀어주는 한풀이를 하는 느낌을 주며 속이 뻥 뚫린 느낌을 준다. 그저 익숙하게, 고루하게 받아들었던 고전의 재해석에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고전을 바라보는 재미를 알려준다. 계몽근대가 무조건적으로 주입시킨 고지식하고 진부한 해석과 그것이 마치 범접할 수 없는 문학교육의 힘인 것처럼 다른 해석은 시도를 해보지 못하고 우리 고전 소설의 원전의 이야기의 힘을 놓치게 만들었던 점들을 부각시켜 통쾌하게, 낯설게, 신선하게 보여준다.

아마도 고전소설의 인물들은 기존의 신분제도에서, 가부장제에서 살아남아야 했던 사람들이었고 그들 역시 현대의 우리와는 별다르지 않는 욕망과 불만, 모순, 탐욕을 지닌 채, 불합리한 제도 속에서 어떻게든 버티어내야 했던 인물들이었을 것이다. 결코 넘을 수 없었던 신분제도에서 변혁을 꿈꾸고 결코 이루어질 수 없었던 사랑을 꿈꾸었기에 좌절하고 실망하였을 것이다. 그러기에 고전을 읽을 때, 권선징악으로 모든 고전소설을 판단했었던 것을 과감하게 걷어 낸다면, 고리타분하고 진부하다고 생각했던 소설은 진짜 본연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래서 '전을 범하다'는 유쾌하고 통쾌하고 즐겁다. 미처 알지 못했던 고전의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잘 알려진 고전소설은 과감한 재해석으로 잘 알지 못했던 고전소설은 새로운 만남으로 만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