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의 상인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6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이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너무나 유명한 작품을 읽는다는 것은 읽기 전부터 나름 부담감을 안고 읽기 시작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칭송받은 작품, 거듭되는 연구가 되고 있는 작가의 작품, 전세계적으로 연극, 영화 무대에서 공연되는 작품을 어떻게 부담감 없이 읽어야 할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만 유독 그런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여하튼 두 번째로 읽기 시작했고 중학교 시절에 읽었던 기억과 영화, 연극으로 보았던 이미지와 감정을 생각하며 다 읽었다.  

첫 번째로 읽었던 중학교 때는 그저 흑백으로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유대인은 잔혹하고 이기적인 사람이고 기독교인은 선하다는 구분되는 의도로 읽게 되었고 그 기억은 오래 남았었다. 그런데 그런 의도로 읽으면서도 계속 불편했던 감정들이 기억이 나는 데, 그것은 이번 두 번째로 읽었을 때, 더 강하게 남게 된다.  내심 불편하고 또 불편했던 감정은 지나치게 유대인 샤일록을 악인으로 몰아간다는 점이었고 샤일록 외에 등장하는 모든 기독교인들의 행동이 드러나게 공격적이고 대사 속에서는 자신들과 다른 집단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심한 경멸감과 모욕감이 지속적으로 드러나며 자신들의 행동은 정당하고 샤일록의 행동은 무조건적인 악행으로 몰아간다는 점이었다. 그러면서도 끊임없이 샤일록에게만 자신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고 정당하다고 느낀다는 점이었다. 물론 샤일록의 행동과 요구는 정당화할 수는 없지만 그들의 행하는 요구와 태도는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그 점을 위대한 작가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풀어내고 있는 것일까? 그 시대에 통용되던 유대인들에 대한 감정을 작품 속에 쏟아낸 것일까? 아님 겉으로 드러나는 의도보다 더 깊은 진짜 의도가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한다. 

'베니스의 상인'은 두 이야기를 축으로 한다. 빚을 제 때 갚지 못한 기독교인 앤토니오에게 유대인 샤일록이 살 1파운드를  그가 원하는 부위에서 취한다는 차용증서가 법정에서 판결을 받는 이야기와 세 상자 중 올바른 상자를 골라 사랑하는 연인을 맞이하고 연인과의 약속의 증표인 반지와 신뢰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두 이야기에는 기독교인들에게 현명한 판사로 알려진 포오셔가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이야기를 이끈다. 그녀의 현명한 판단(?)으로 '베니스의 상인'은 기독교인들에게는 행복한 결말을, 유대인 샤일록에게는 불행한 결말으로 맞게 된다. 그런데 만약 이렇게 단순하게 흑백으로만 이야기를 시작하고 끝낸다면 위대한 작가 셰익스피어가 아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다. 그는 겉으로 드러난 의도와 다른 또 다른 깊은 의도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베니스의 상인'을 통해서 셰익스피어는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기독교인이든, 유대인인 것과는 상관없이 인간의 위선과 이기심을 조롱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들의 유리한 입장과 상황을 위해서라면 상대방을 한없이 폄하하고 조롱하며 폭언을 일삼는 기독교인들과 그런 기독교인들에게 오랜 세월동안 심한 모욕을 받으며 복수할 날만을 기다리며 살아 온 유대인들 모두에게 위선을 벗으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위선을 벗을 수 있을 때야말로 진실은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인이든, 유대인이든 상관없이 우리 모두에게 편파적인 생각과 이기심이 얼마나 큰 병폐를 만들 수 있는지를 깨달으라고 말이다. 작가 셰익스피어가 의도했는지, 의도하지 않았는지는 모르겠지만 '베니스의 상인'은 여러 번 읽을수록 그 느낌이 다를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위선덩어리이자 이기적인 인간들의 군상을 보면서 새로운 깨달음을 느낄 수도 있고. 포오셔의 사랑의 약속을 중요성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소설에 등장하는 여러 인간 군상들을 통해서 우리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도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