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버지를 죽였다
마리오 사비누 지음, 임두빈 옮김 / 문학수첩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심하리만큼 담담하게 아버지를 살해했다고 고백하는 화자와 그를 상담하는 심리상담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을 통해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는 이야기한다.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라는 존재는 그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존재이고 그를 부정하는 존재이며 그를 괴롭히는 일에 쾌감을 느끼는 존재였다고 말이다. 도대체 화자와 아버지에게는 무슨 일들이 있었던 것일까? 

그 누구보다도 어머니를 사랑했던 화자는 어머니의 이른 죽음으로 인해 자신과는 너무나 다른 성향을 가진 아버지에게 방치된 채, 폭력과 심리적 학대에 시달리게 된다. 결국에는 가정파탄까지 이르게 되고 그는 오랜 세월 참고 견디어 왔던 살인을 결심하게 되고 실행하게 된다. 그렇다면 그의 존속살인의 행위는 그럴 수밖에 없었던 끔찍한 상황에 따른 결과물이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화자는 철저한 '악'의 화신인 아버지의 폭력과 학대로 인한 피해자였을까? 그의 아버지는 '악'의 화신이기에 죽음을 당할 수밖에 없었던 인물이었을까? 하는 여러 생각을 복잡한 마음으로 생각하게 된다.  

화자는 심리상담가와의 대화 속에서 자신의 저지른 아버지의 살인은 정당한 것이었음을 끊임없이 주장하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번복하거나 왜곡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심리 상담가와 독자들을 혼란에 빠지게 한다. 화자의 모순이 드러나는 장면이기도 하는데, 그는 평생 증오하고 미워했던 아버지의 경제적 지원 그늘에서 결코 벗어나지 못한 삶을 살아 온 인물이기도 하다. 아버지 존재는 끔찍하게 증오하면서도 그의 경제적인 지원은 자학적인 심리상태를 동반한 채, 부를 이용하고 안락한 생활을 하는 인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그렇게 끔찍하고 자신의 인생을 망친 인물이 아버지라면 그에게 벗어나 독립할 수 있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물론 그러기에는 그 둘의 관계는 예상을 뛰어넘을 만큼 복잡미묘한 관계이다. 그렇기에 그 둘의 관계를 온전하게 이해한다는 것은 어쩌면 불가능할지 모르겠다. 

'내가 아버지를 죽였다'는 화자의 심리상담가와의 대화 내용과 화자의 소설(미래). 마지막 충격적인 결말에 이르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작가는 독자들을 극단의 감정으로 이끈다. 작가는 존속살인을 고백하는 화자를 통해 복잡 미묘하고 결코 알 수 없을 것만 같은 깊고 깊은 증오의 감정을 느끼게 하며 화자의 행위는 그의 주장대로 악을 처단한 것인지, 증오에 가득 찬 아들의 분노로 인한 살인인지를 생각하게 된다. 더불어 더 고통스럽고 근원적인 질문에 다다르게 된다. 인간의 본성은 악한 것일까? 악은 만들어지는 것일까? 하는 답이 없을 것만 같은 질문들이 마음속에 어지럽게 흐트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