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노운
디디에 반 코뵐라르트 지음, 권수연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2월
평점 :
나를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나를 부정하고 적대시하며 내 존재자체를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면, 나는 '나'를 그들에게, 나자신에게 어떻게 증명해야 할까? 아무리 생각해도 답이 없을 것만 같아 당혹스럽게 느껴진다. 소설에서처럼 신분을 조작하고 위조할 수 있다면 '나'라는 존재는 나를 증명해줄 수 있는 서류상에서 사라질 것이고 더 이상의 보호(?)를 받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만약에 그렇게 되더라도 가족들과 지인들이 '나'를 나라고 인정한다면 그건 아무런 일도 아닌 일종의 해프닝으로 웃으며 넘어갈 수 있는 이야깃거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 '언노운'의 마틴 해리스처럼 그 모든 것을, 어느 날 갑자기 잃었다면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해야 할까?
저명한 식물학자 마틴 해리스는 프랑스에 연구를 위해 아내와 함께 도착한 후, 의문의 교통사고를 당하고 72시간의 코마 후 홀로 병원에서 깨어난다. 그가 탔던 택시 기사만이 그의 병상을 지키며 그가 깨어나기만을 바라고 있었다, 마틴 해리스는 아내가 아직까지도 자신의 사고를 모르고 생사를 궁금하게 여길 것이라 생각하며 집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돌아간 집에는 정체불명의 남자가 자신이 진짜 마틴 해리스라고 하고 그의 아내는 그를 알아보지 못하며 그를 부정하게 되고 마틴 해리스는 궁지에 몰리게 된다. '나'를 증명할 모든 것을 잃고 존재를 부정당하고 자신이 마틴 해리스라고 주장하는 남자에 의해 그의 주변 모든 상황은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마틴 해리스는 모두에게 부정당한 '나'를 증명할 수 있는 일은 오로지 그가 갖고 있는 기억에만 의지해야만 하는 상황 속에 빠지게 되고 그를 믿어주는 택시기사 뮈리엘뿐이다. 그는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고군부투하게 되며 뮈리엘은 그를 유일하게 도와주고 믿어주는 존재가 된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자신을 증명하기 위해 발버둥 치며 노력하던 중에 얼핏얼핏 드는 또 다른 기억들이 그를 혼란 속에 빠지게 하고 이야기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그를 이끌게 된다.
'언노운'은 마틴 해리스가 처한 모든 상황이 나였다면 나는 '나'를 어떻게 증명해야 할까 하는 고민을 줄곧 하게 된다. 소설 속 마틴 해리스처럼 그의 실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정말 좋겠지만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나와 같은 많은 사람들은 이런 상상만 해도 스멀거리며 공포감이 생기기 시작한다. 더구나 '나'의 존재를 가장 강력하게 인정해주어야만 하는 가족과 지인들에 의해 부정된다면, 나를 둘러싼 세상은 순식간에 무너져 내리며 어찌해야 할지 모른 채, 망연자실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당신이라면 어찌할 것인가? 하는 끊임없는 의문을 갖게 하며 수많은 생각 속으로 몰아붙인다. 혼란과 혼돈 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