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곰스크로 가는 기차 (양장)
프리츠 오르트만 지음, 안병률 옮김, 최규석 그림 / 북인더갭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곰스크로 가는 기차'는 어린시절부터 아버지에게 들어온 꿈의 장소 곰스크로 가는 것이 소원인 한 남자가 갓 결혼한 신부와 함께 곰스크로 가는 기차를 타면서 시작된다. 남자의 평생의 꿈의 도시인 곰스크로의 여행은 그에게는 운명의 장소이기도 하고 인생의 진정한 목적지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의 아내에게는 곰스크로 가는 여행이 그와 같은 마음이 아님을 알게 되면서 갈등은 시작되고 남자의 곰스크로의 여행은 평범한 삶 속에 주춤하게 되고 망설여지게 되고 미루어지게 되면서 점점 멀어져만 가게 된다.
곰스크에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는 미래가 불확실함에도 불구하고 떠나려는 남자와 여행 중 우연히 내리게 된 작은 마을에 정착하며 결혼생활을 하려는 아내와의 갈등 끝에 결국 사내는 곰스크로의 꿈을 접고 마는 과정은 많은 공감을 갖게 한다. 처음에 느끼는 감정은 읽는 이로 하여금 남자의 곰스크에 대한 무한 애정에 공감하게 되고 그의 꿈을 붙잡는 아내에게는 실망감을 갖게 하며 무작정 답답함을 느끼게 하였다. 하지만 현실에 어떻게든 적응하며 결혼생활을 유지하려는 아내의 의지 또한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지 않은 채, 꿈만을 따라가려는 남편에 대한 아내의 안타까운 마음 또한 그녀의 다소 무리한 행동과 말 속에 절절히 담겨 있어 여러 감정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곰스크로의 여행은 누구에게나 있고 비록 이루어지 못한 꿈이라도 마음 속에 남아있는 그 꿈에 대한 마음은 쉽게 포기할 수도, 잊을 수도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평범한 일상 속에서 묻히듯 살다가도 어느 순간 남자가 곰스크로 가는 기차를 하염없이 바라보고 돌아와 다락방에 올라가 혼자만의 고통의 시간을 보내야 하듯이 우리는, 나는 멈출 수가 없는 것이다. 그 아련한 곰스크에 대한 열정어린 마음을 말이다. '곰스크로 가는 기차'는 묘하리만큼 긴 여운을 주고 있다. 읽는 동안에도 다 읽은 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