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뒷모습
미셸 투르니에 지음, 에두아르 부바 사진,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뒷모습'은 숨겨진 나의 표정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곳이며 숨기고 싶어도 숨길 수 없는 공간이기도 하다. 앞모습에서는 한껏 괜찮은 척, 좋은 척, 관심 없는 척을 할 수 있지만 돌아서는 내 뒷모습은 그것이 거짓말임을, 허세임을 이야기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뒷모습을, 누군가의 뒷모습을 보이고 바라본다는 것은 쉬운 일인 듯 보이지만 결코 쉽지 않은 감정적인 일이다. 특히 누군가의 뒷모습을 지긋이 바라본 적이 있다면.......
'뒷모습'은 에두아르 부바의 흑백사진에 미셸 투르니에 글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포토 에세이이다. 53컷의 흑백사진에 미셸 투르니에의 감상 글에 보고 읽는 이의 감정을 실어 읽는다면 '뒷모습'은 완성된다. 흑백사진은 아련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에두아르 부바의 사진에는 정지된 찰나의 모습이 여러 감정 속에 녹아 들어있다. 칠판 앞에서 열심히 수학문제를 푸는 아이의 살짝 경직된 뒷모습에서, 발레리나의 아름답게 긴장된 뒷모습에서, 농부의 힘겨운 뒷모습에서, 사랑하는 연인들의 말없이 흐르는 감정이 담긴 뒷모습에서, 홀로 벤치에 앉아 상념에 젖어 있는 사람의 뒷모습 등에서 수많은 감정들을 느낀다.
뒷모습에는 애틋함이 담겨있다. 내가 알지 못하는 표정이 드러나 있고, 그 또는 그녀의 숨겨진 이야기가 담겨있다. 때론 알아주기를 바라는 이야기가 있고, 또 때론 결코 알리고 싶지 않은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그래서 뒷모습은 애틋하고 낯설기도 하다. 앞모습에서 미처 알지 못했던 또 다른 이야기를 뒷모습은 은밀하게 전해주고 있기에 누군가의 뒷모습을 바라본다는 것, 누군가가 나의 뒷모습을 바라본다는 것은 감정이 알알이 실려 있는 개인적인 일이 된다.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감정들과 함께 덩그러니 남게 된다. 그, 그녀가 들려주는 감정들을 이해하려고 또는 내가 전하고 있는 혹은 감추고 싶은 이야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무방비 상태에서 당황해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