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3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0년 8월
평점 :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처럼 집요함이 돋보이는 추리소설은 거의 처음이지 않을까 싶을만큼 집요하고 또 집요하다. 추리소설을 읽다보면 나름 추리를 해가며 범인 찾기에 돌입하게 되는데 그래서 이 사람이 제일 의심스러운데, 동기도 충분하잖아 하면서 읽게 된다. 그런데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에서는 이 사람이 범인인가 싶으면 또 다른 사건이 일어나고 저 사람인가 싶으면 또 다른 범행동기가 나오면서 마구 헷갈리기 시작한다. 결국 끝까지 읽고서야 이해가 되면서 울고 싶어진다. 작가의 놀라운 집요하고 치밀함에.......
옛 조상의 지벌에 대한 두려움이 깊게 간직된 한 마을에서 머리 잘린 시체 사건들이 연이어 일어나게 되면서 사건의 중심에 선 이치가미 가, 후타가미 가, 미카미 가는 순식간에 큰 혼란 속에 빠지게 되고 특히 이치가미 가는 잘린 머리 시체 증 한 명이 장남 조주로로 밝혀지면서 가문의 승계문제로 곤란한 상황을 연이어 겪게 된다. 마을의 뿌리 깊은 아들 숭배사상으로 인해 일어났던 예상하지 못했던 진실들이 하나, 둘 밝혀지게 되면서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사건이 맞물려 있음을 알게 된다. 자신의 신분을 알지 못한 채 십년 넘게 조주로의 하인으로 살아 온 요키타카, 사건을 해결하고자 죽는 날까지 고심했던 다카야시키 순사와 후에 추리소설 작가가 된 그의 아내 다카야시키 다에코, 남장 여인인 추리작가 에가와 란코, 괴담수집가이자 작가인 도조 겐야 등 생생한 인물들이 사건의 중심에 있고 또 사건을 해결하고 기록으로 남기고자 고군분투하게 되는 과정을 반전에 반전을 통해 그리고 있다.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보면, 첫 부분은 마을에 내려오는 천벌과 같은 지벌과 지나치리만큼 심한 아들숭배사상, 이치가미 가의 승계존속문제 등으로 볼 수 있고 두 번째 부분은 연이어 일어난 불가사의한 살인사건 속에 속속 밝혀지는 과거의 사건과 진실부분이고 세 번째 부분은 이 소설의 시작인 추리소설 작가가 된 다카야시키 다에코가 20 년 전에 히메카미 촌에서 일어난 괴이한 잘린 머리 시체 사건들을 소설로 기록하게 되면서 시작된 부분과 후반부에 도조 겐야와 벌이는 추리게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느낌을 조금씩 달리하며 소설의 즐거움과 머리 아픔을 동시에 안겨 준다. 작가의 집요함에 머리가 아프지만 흥미로운 머리 아픔이었고 또 이런 작품을 만나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