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처
카밀라 레크베리 지음, 임소연 옮김 / 살림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한적한 어촌 피엘바카의 왕의 협곡에서 나신의 소녀 시체가 발견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더구나 소녀의 시체 밑에 두 구의 오래된 유골이 발견되면서 두 사건의 연관성에 형사들과 피엘바카 사람들은 큰 충격에 휩싸이게 된다. 피해자의 팔, 다리, 손가락, 발가락에는 누군가에 의해 일주일에 걸쳐 하나둘씩 부러졌으며, 피부에도 무수히 많은 자상의 흔적이 남아 있었고 24년 전에 발견된 두 구의 시체에도 유사한 골절과 상처가 있었음이 밣혀지자 수사를 맡게 된 파트리크 형사는 두 사건을 동시에 수사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24년 전의 사건과 현재의 사건의 연결점을 찾고자 고군분투하게 된다. 24년 전 실종사건의 유일한 목격자였던 위대한 전도사로 알려진 에프라임 홀트가의 장남 가브리엘과 가브리엘의 신고로 오명을 쓴 채 자살을 생을 마감한 홀트가의 둘째 아들 요한네스와 그 자손들 야콥, 로베르트, 스테판에 이르기까지 얽키고설킨 복잡한 애증관계 속에 사건의 진실찾기 게임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프리처'는  평화롭고 활기찬 피엘바카의 한적한 관광지를 배경으로 소녀들 실종, 살해 사건을 해결하고자하는 수사과 형사들의 이야기와 신에게 선택 받았다고 굳게 믿는 맹신자와 그를 따르는 신도들과 복잡하게 얽힌 가족관계 이야기로 두 축을 이루며 전체를 이끈다. 특히, 거짓말로 시작된 맹목적인 잘못된 믿음으로 시작된 그들의 신의 섭리, 신의 계획, 신의 도구라고 믿고 자신들이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가하면서도 오히려 치유를 한다고 믿는 어두운 인간의 본성은 가히 놀라울 정도이다. 그러나 맹목적인 믿음으로 신봉하던 자의 실체를 알게 되었을 때,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고통스런 진실을 믿고 싶어하지 않는 실날 같은 무모한 믿음 아래 그는, 그들은 또 다시 무모하고 무자비한 꿈을 꾼다. 자신이 죄없는 희생자들을 구원하고 있다고, 치유하고 있다고....... 한 사람의 이기적 거짓말과 행동으로 시작된 비극은 죄없는 희생자들을 낳았고 그의 힘에 압도되고 장악당했던 가족들은 깊은 상처와 함께 예기치 못한 어둠에 깊게 관여하게 되는 결과를 빚게 되었다. 

작가는 묻고 있다. 과연 신의 이름으로  우리가 진정 신의 이름으로 누군가를 판단하고, 벌하고, 용서하고 구원할 수 있을까?하고 질문을 던진다. 역사적으로 자신들이 신에게 선택받았다고 맹신했던 자들이 벌인 참혹한 사건들을 떠올려보면 가장 두렵고 경계해야 할 자들은 바로 '그들' 이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맹신한다는 것은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이고 두려워해야 할 일이라는 사실을 이 소설을 통해 새삼 더 알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