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우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9
카를로스 푸엔테스 지음, 송상기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아우라'의 가장 큰 매력은 기괴, 몽환, 불가사의, 신비, 욕망이 하나로 어우려져 가장 독특한 고딕 소설을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이다. 길지 않은 분량의 소설은 가장 어둡고 내밀한 인간이 가진 나약한 욕망을 깊고 깊은 명암을 통해, 길고 좁은 복도를 통해, 눈이 부실 정도의 아름다움을 지닌 젊음과 약하디 약한 나약한 노인의 모습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환상 속으로 이끈다.
가난한 젊은 역사학도 펠리페는 신문에 난 높은 월급을 준다는 광고를 보고는 최신식 건물에 둘러싸인 퇴락한 저택을 찾아가게 된다. 그곳에서 백살은 족히 넘어보이는 노파를 만나게 되고 그녀가 원하는 일의 종류를 듣게 된다. 펠리페가 해야 할 일은 오래 전에 죽은 노파의 죽은 남편 요렌테 장군이 남긴 원고를 정리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펠리페는 알 수 없는 기이함과 두려움에 망설이게 된다. 노파의 눈이 부시게 아름다운 조카 아우라를 보기 전에는....... 그녀의 파도처럼 일렁이는 초록 색 눈을 들여다 본 순간 펠리페는 그녀에게 사로잡히게 되면서 이야기는 기이한 환상과 욕망 속에 일렁이게 된다.
'아우라'는 독특한 이인칭 화법을 사용하여 시종일관 화자를 통해 그를, 그녀들을 바라보게 되며 그들의 이야기를 따라가게 된다. 그러다 어느 순간 이인칭 화자는 일인칭을 지칭하다, 그를, 그녀, 노파를 번갈아 가며 지칭하는 삼인칭을 섞어 묘사하며 펠리페, 아우라, 콘수엘로 부인, 요렌테장군의 과거, 현재를 뒤섞으며 몽환 속으로 빠지게 한다. 환상적인 기법, 독특한 화법으로 '아우라'를 더욱 더 신비롭고 거부할 수 없는 아름다움으로 부각시키며 인간의 집요한 어두운 욕망과 애잔하다 못해 서글퍼지는 한 여성의 치명적인사랑에 나도 모르게 아!! 하는 탄성이 나오게 된다. 공간의 강렬한 명암대비, 젊음과 늙음, 추함과 아름다움, 환상과 현실을 절묘하게 대비시키며 알 수 없는 불안과 두려움, 끌림으로 펠리페와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내가 읽은 고딕 소설 중 가장 독특하고 멋진 소설이었다. 아마도 난 이 책을 앞으로도 또 읽게 될 것이고, 읽을 때마다 조금씩 다른 기묘한 느낌을 받게 될 것이고 매번 감탄하게 될 것이라 예상한다. 그 생각만으로도 즐거워지는 미로와 같은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