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즌 트릭
엔도 다케후미 지음, 김소영 옮김 / 살림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형무소 밀실 살인사건이 밤사이에 일어나고 범인은 사라진다. 형무소는 발칵 뒤집히고 한 사람은 시체로 발견되고 또 한 사람은 유유히 사라진 후였다. 피해자의 신원은 이시즈카로 밝혀지고 도망친 사람은 미야자키로 확인된다. 하지만 어떤 방법으로 밀실 살인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지, 범인은 어떤 방법으로 사라졌는지를 형무소 직원들과 경찰들이 짐작도 하지 못한 채 우왕좌왕 할 때 사건은 상상할 수 없는 방향으로 점차 빠져들기 시작한다. 피해자와 가해자인 두 사람의 신원이 뒤바뀐 것이 밝혀지면서 사건자체가 불가사의해진다. 그들 사이에 얽힌 사건의 실마리를 찾아 추적하게 되고 그 사이에 그들 사이에 얽힌 과거의 사건이 밝혀지면서 점차 사건은 좁혀져 오면서 사건해결이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며 안심하게 된다. 하지만 '프리즌 트릭'은 결코 이쯤에서 독자들을 놔주지 않는다. 마지막 장을 넘길 때까지 '왜? 왜? 그런 거야.' 혹은 '정말, 그런 거였어.' 하면서 혼잣말을 되 뇌이게 한다.  

'프리즌 트릭'은 예상했던 것보다 더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기치 못한 인물들을 배치해서 사건의 재미와 추리의 즐거움을 동시에 준다. 저자는  인물들의 과거의 사건과 잘못을 들추면서 그들이 처한 입장을 상반되게 보여주고 피해자와 가해자의 대치 장면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매스컴의 무분별한 방송으로 인한 한 개인들의 삶이 얼마나 피폐해지고 무너지는 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비판한다. 단순히 밀실살인 트릭을 넘어서 인간과 인간의 이야기가 그려지고 있다. 관계들 속에 숨겨진 애증과 복수심은 이야기 전체를 이끈다. 그래서 더 경악스럽고 혼란스럽게 만든다.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어야만 하는 현실과 가해자 가족들이 매스컴에 의해 철저히 붕괴되는 점들은 공포였다. 매스컴에서 경쟁하듯이 보도하는 사건과 그 사건들을 흥미위주로 전하고 전달 받았던 그 순간들이 생각이 나 오싹했다. 나 역시 소리 없는 가해자일지도 모르니 말이다.

'프리즌 트릭'은 복잡한 퍼즐을 맞추듯이 전체를 잘 이끌어간 작가의 내공이 더 궁금해지게 만든 소설이었고 다음이 더 기대가 되는 소설이었다. 제 55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이라는 타이틀에 걸 맞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