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찬란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7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시는 여전히 어렵고 난해하다는 생각에 무조건 외면했었다. 더구나 한 권의 시집을 제대로 읽어본 적은 아득한 먼 옛 이야기일 것만 같아 이병률 시인의 '찬란'을 읽기 전에 망설여졌다. 도대체 감성으로 느끼는 시를 읽고 도대체 어떤 느낌을 받아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그 느낌 자체도 다른 분들하고 전혀 다른 느낌을 받고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소심한 마음에 시를 만나는데 망설이게 했었다. 하지만 읽기 시작했고 조금은 알 듯한 마음과 여전히 모르겠다는 느낌 속에 있다.
'찬란'을 다 읽은 후의 느낌은 참 사람은 외롭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환하게 웃으며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다 돌아와도 여전히 가슴 속에 무언가 뭉클하게 자리잡고 있는 듯 느낌을 받는 것처럼 사람은 늘, 여전히 외로움과 고독함을 지니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은 차갑게 느껴지는 '찬란'의 시들은 무표정한 얼굴을 닮았다. 하지만 그 무표정 속에 너무 많은 감정과 이야기들이 소용돌이치는 것 같아서 오히려 모든 감정을 드러난 얼굴보다 더 시리고 아릿함을 느끼게 한다. 특히 '마음의 내과' 시에서는 혼란스런 나의 마음을 보는 것 같아 심란하기도 했고 어쩔 수 없는 끌림에 눈이 자꾸 가 소개해 보고 싶다. '찬란'의 시를 다 이해했다고는 말 못하겠다. 하지만 '시' 읽기를 시작했다고는 말할 수가 있어 즐거운 마음에 시집을 덮었다.
마음의 내과
이 말이 그 말로 들릴 때 있지요 그 말도 이 말로 들리지요 그게 마음이지요 왜 아니겠어요. 몸피는 하나인데 결이 여럿인 것처럼 이 사람을 귀신이라 믿어 세월을 이겨야 할 때도 있는 거지요 사람 참 마음대로지요 사람 맘 참 쉽지요 궤짝 속 없어지지 않는 비리내여서 가늠이 불가하지요 두 개의 달걀을 섞어놓고 섞어놓고 이게 내 맘이요 저것이 내 맘이요 두세계가 구르며 다투는 형국이지요 길이가 맞지 않는 두 개의 자이기도, 새벽 두 시와 네 시 사이이기도 하지요 써먹을 데 없어 심연에도 못 데리고 가지요 가두고 단속해봤자 팽팽히 와글대는 흉부의 소란들이어서 마음은 그 무엇하고도 무촌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