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일런트 랜드 - 신경심리학자 폴 브록스의 임상 기록
폴 브록스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을 온전하게 안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사회에서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정상이라고 판정되는 사람들조차도 자신도 알 수 없고 이해가 안 되는 행동과 말을 해서 당사자를 포함한 모두를 당혹스럽게 하기도 한다. 그만큼 인간의 뇌는 불가사의하고 행동을 유발하고 자아를 완성키는 부분은 미지의 세계이다.  

신경심리학자 폴 브록스는 임상경험을 통해서 환자와 의사의 관계를 넘어서 환자의 입장이 되어 뇌손상으로 인한 변화된 삶의 기록을 섬세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뇌손상으로 인해 삶 전체가 뒤바뀌어 버린 그들은 이해할 수도 이해받기도 힘든 상황 속에서 자신들의 모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들을 임상치료를 하면서 저자는 환자들의 느끼는 고독과 슬픔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뇌의 역할과 자아에 대한 풀리지 않는 의문에 끊임없이 탐구하고 사색한다. 

뇌의 역할은 무엇일까? 자아를 형성하는 것은 무엇일까? '나'를 나답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을 '사일런트 랜드'를 읽는 순간에도, 읽고 나서도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기억의 연속성으로 만들어진 '나'가 나임을 인정하고 또 다른 기억창고를 형성해가는 과정이 자아 찾기 과정이라면 그 연결고리를 잃고 방황하는 상황이 뇌손상으로 인한 환자들의 겪고 있는 아픔이다.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 뇌를 이해하기 위해, 자아를 이해하고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이해하기 위해서 폴 브록스는 사람을 연구했고 우리는 그와 환자들이 겪고 있는 놀라운 사례들을 간접경험하면서 자신의 '자아'를 들여다보기 위해 진솔한 마음의 거울을 꺼내야 본 모습을 볼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가끔은 삶의 길을 잃기도 하고 내가 누구인지 도통 이해가 안 되고 화가 날 때, 폴 브록스가 들려주는 그들의 스토리를 생각하고 나를 나답게 바라볼 수 있는 마음과 용기를 지니고 싶다는 생각을 '사일런트 랜드'를 읽으면서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