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 유대인은 선택받은 민족인가 고정관념 Q 8
빅토르 퀘페르맹크 지음, 정혜용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문학작품 속, 외국영화 속에서 표현된 유대인은 대부분 인색하고 별종인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궁금했었다. 왜 그들은 미움을 저리도 지독하게 받고 있을까? 왜 그들은 2차 세계대전을 그 어떤 민족보다도 지독하게 겪어야만 했을까? 하는 궁금증이 항상 자리 잡고 있었다. 분명 작품들 속에 드러난 유대인에 대한 표현은 그럴싸하게 포장되어 있던, 포장되어 있지 않던 그 표현 속에서는 경멸감이 담겨있었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저리도 집단적으로 미움을 받을까하는 의문은 '유대인' 책을 통해서 어느 정도는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단 한권의 책을 읽고 유대인에 대해서, 서양인들의 뿌리 깊은 미움에 대해서 다 이해했다고는 볼 수 없다. 다만 어떠한 이유로 유대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자리잡게 되었는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유대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편견은 수전노, 돈만 아는 사람들이라는 이미지에서 19세기 중반 반유대주의가 극성스럽게 맹위를 떨치면서 사람들 뇌리에 고정관념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그들은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유대인들은 각국으로 흩어지게 되고 독립된 유대국가 건설을 사명으로 갖게 된다. 그리하여 1948년 이스라엘의 건국으로 그들의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고 강대국에 의해 인정받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스라엘은 놀라운 변모를 보여주게 된다. 이스라엘이 건국 된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의 권익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들의 유대국가 건설에 모든 초점을 맞추어 강대국들의 협조하에 점차적으로 팔레스타인들을 내몰기 시작하는 '팔레스타인' 책에서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유대인들은 어이없는 핍박과 멸시를 받으면서 오랜 세월 인고의 시간들을 보냈다. 그점은 세계가 다 이해하는 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책을 연결해서 읽다보면 도대체 그들은 누구일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또 다른 나만의 고정관념이 되는 것일까 하는 우려가 생기지만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강대국의 협력과 팔레스타인 정부의 무능함에 팔레스타인들은 이스라엘인들에 의해 점차 살던 터전을 다 잃어가고 있고 높은 실업율과 끝이 안 보이는 난민생활을 계속해오고 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경제적으로 통제와 제재로 묶어 놓고 있어 그들의 독립된 국가의 꿈은 점차 사라지게 만들고 있다. 물론 팔레스타인들의 이스라엘에 대한 대응은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자살테러 등을 통해서 자신들의 의지를 표명하려하는 점은 우려가 크다. 그들의 궁극적인 분쟁의 원인이 종교 간의 갈등으로 보이는 이면에는 영토분쟁이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에 답답함을 느끼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다른 이들의 고통은 눈을 감는 국제적 현실이 두렵게 느껴진다. 유대인을 통해서 본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을 읽으면서 알게 된 유대인은 왜 이리도 나에겐 다르게 느껴지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이것 또한 또 다른 고정관념이 자리 잡게 되는 순간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