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의 진화
데이비드 버스 지음, 전중환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욕망의 진화'는 진화심리학을 통해 들여다 본 인간 본연의 욕망을 다루고 있다. 남녀의 욕망이 어떻게 다르게 진화되어 왔는지를 500여페이지가 넘는 분량으로 상세히 설명해주는 책이다. 남녀가 만나 사랑하게 되고 연애, 섹스, 결혼, 파경에 이르기까지를 성공적인, 또는 실패한 전략에 대해서도 설명해주고 있으니 흥미진진하다. 더구나 우리 모두는 조상들의 성공적인 전략을 통해서 태어난 존재들이라고하니, 신기하기도하고 오랜시간 이어져 온 진화생물학의 한줄기를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뿌듯하기도 하다. 인류사에 있어 인간의 욕망은 항상 관심의 촛점이며 진짜 인간의 삶을 보여주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성공적인 짝짓기를 통해서 수백만년동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우리 안의 마음(연애의 환희, 열정, 사랑의 기쁨)이 진화되어 오늘 날 우리의 모습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남녀의 성은 자손의 번식이라는 크나큰 과제를 통해서 발전을 거듭해왔고 또한 다르게 반응하면서 진화되어 왔다고 한다. 남자는 자신의 정자를 많은 여성들에게 안정하고 지속적으로 주입하여 자신의 자손들이 이어져 가기를 바라고 여성들은 좀 더 뛰어난 유전자를 자손에게 전해 주기 위해 전략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면서 진화되어 왔다고 한다. 남녀간에 있어 장기적인 관계를 원하는 상대와 단기적인 연애를 원하는 상대의 유형이 다름도 흥미로웠다. 남자는 단기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거의 모든 조건을 따지지않고 섹시하고 아름다운 여성을 원했고 여성들은 지금의 배우자 혹은 남자친구보다 좀더 뛰어난 유전자를 가진 상대를 원한다는 사실도 흥미있었다. 세상은 꾸준히 변해가고 있고 남녀간의 관계 형성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오랜세월 동안 여성들은 안정적인 기반을 위해서 남자에게 성전략을 써왔다면 남자는 사랑하는 여자를 위해서 안정적인 기반과 부를 무기로 삼았다면 지금 현대에 와서는 좀 더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적으로 남자에게 생존의 방법을 의존하는 여성들이 있는 나라가 있는 반면 스웨덴처럼 나라에서 전에 남자가 해주었던 생존을 위해 필요했던 것들을을 나라가 해주기 때문에 굳이 남자에게 경제적으로 기대려하지 않는 여성들도 생겼기 때문이다. 더구나 남녀의 성뿐만이 아니라 동성애자들의 사랑도 남녀간의 성만큼이나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게이커플과 레즈비언 커플의 관계가 다르듯이 사랑, 섹스, 종족번식 자체가 어려워지고 세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서로가 다름을 인정하고 진화되어 온 육체적, 심리를 이해한다면 남녀간의 사랑도 동성간의 사랑도 발전적인 모습으로 진화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책을 덮은 지금에도 머릿 속에는 수많은 이야기와 사례가 어지럽게 떠다니고 있다. 각장마다 흥미진진한 욕망에 관한 진화심리학 이야기가 가득하니, 적절하게 찾아 탐구, 실생활에 이용하면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