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육에 이르는 병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아비코 다케마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시공사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9세 미만 구독 불가
표시가 되어 있는 '살육에 이르는 병'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왜 그러한 표시가 쓰여져 있었는지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살육에 이르는 병'은 첫 장면부터 미소를 짓는 범인이 잡히는 장면부터 시작된다.
그 첫 장면부터 가슴이 울렁거리기 시작했는데, 반쯤 읽었을 때에는 어느 장면에서는 눈으로만 읽어지고 가슴으로는 읽어지지 않았으면 할 정도로 섬뜩하고 소름이 돋는 공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렇다고 호러적인 요소가 가미된 것도 아닌데, 작가가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도 독특하고 스멀스멀한 느낌이 온몸을 감싼다.
시체를 잔인하게 훼손하고 시간(시체를 강간)을 하는 범인, 대학생인 아들의 방을 샅샅이 뒤지는 어머니, 사건의 피해자가 사랑했던 퇴직형사의 시선을 오가며 이야기는 전개된다.

몇년 전에 퇴직한 전직 형사 히구치는 아내의 간호사였고 자신을 사모하고 있었던 여인의 잔인한 살인사건으로 인해 그녀의 여동생과 함께 직접 범인을 검거하고자 마음을 먹고 사건을 추적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 둘은 죽은 여인에게 죄책감어린 사연이 감추어져 있고 그래서 더 사건에 매달리게 되고 연쇄 살인사건 속에 휘말리게 된다.

'살육에 이르는 병'은 아비코 다케마루의 1992년작으로 신본격 추리소설로 평가받고 있는 작품이며 '강렬하고 아름다운 트릭이 논리적인 추리로 허물어지는' 추리소설을 꿈꿔 왔던 신본격파 작가답게 그 결과는 매우 놀랍다.
아마도 대부분의 독자들이 마지막 장에서 경악할 것이라 장담한다.
아...소설을 읽는 내내 작가의 트릭에 완벽하게 속아왔구나를 느끼면서 추리소설의 진정한 묘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사이코패스의 이상심리, 현대 가정의 황폐화에 따른 문제점들과 함께 최강의 반전을 기대하시길 바라며 자세한 이야기는 이쯤하기로 한다.
직접 읽고 느껴보시길 바란다.(단 가벼운 추리소설을 원하신다면 읽지 않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