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하느님
조정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조정래의 작가의 책을 태백산맥을 읽은 후 두번째로 접하게 된 책이 바로 '오 하느님'이다. 그래서인지 오랜만에 만나게 된 '오 하느님'은 잊고 있었던 작가의 정서와 느낌을 다시금 만날 수 있었다.

'오 하느님' 이란 일본군으로 소련군, 독일군, 미군의 포로가 되어 소련으로 강제 송환되어 가게 되는 병사들의 통한과 고향으로 돌아가고자하는 실날같은 희망어린 혼합된 절규었던 것이다.

읽는 동안 나역시 오..하느님...오 하느님...이 절로 감탄사처럼 뱉어지게 될 만큼 그들의 운명은 본인들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깊은 늪으로 빠져들게 되었고 불행했던 우리 민족사의 어두운 그늘과 그들을 끝까지 외면했던 우리들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어리숙하고 순진했던 소작농의 아들들인 그들은 돌아오면 면서기를 시켜주겠다는 꾀임과 지원하지 않으면 가족들을 험난하고 고난의 길인 만주로 강제 이주시키겠다는 엄포에 그들은 일본군으로 지원할 수밖에 없게 된다.

'호랑이한테 열두 번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살아난다.'라는 어머니의 말씀과 '총알 피해댕겨라'하시는 아버지의 기원을 가슴에 품고 신길만은 떠나게 된다.

이 지긋지긋한 전쟁만 끝나면 고향에 돌아와 면서기로 가족들과 만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품고 떠나온 전쟁터에서 신길만은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한국인 병사들을 만나게 되고 그와 똑같은 약속을 받고 전쟁터에 끌려오게 되었다는 사실에 낙담과 고통스런 현실을 알아가게 된다.

일본이 소련에 패하게 되면서 소련군 포로에서 소련군으로, 소련군에서 독일군 포로로, 또다시 미군의 포로로 이어지게 되는 상황에서 가슴이 미어지는 것은 어쩔수가 없었다. 계속되는 전쟁의 공포와 함께 굶주림, 강제노동으로 인해 젊은 청년들이 이가 빠지고 죽어나가는 장면은 그들을 외면할 수밖에 없었던 민족적 현실이 암담하고 가슴아펐다. 조선인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의 군인과 포로로 이어지면서도 자신들이 조선임을 알리고자했던 그들의 마지막 희망이 물거품이 되어버리는 것을 읽으면서 그들을 잊고 살았던, 아니 외면하고 있었던 우리들의 모습이, 내 모습이 부끄러웠고 비참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그뒤에서 눈물과 고통으로 점철되었던 수많은 사람들은 마치 처음부터 없었던것처럼 그들의 인생이 사라져버려 안타까웠다.

노르망디 유타 해안에서 찍었다는 독일군복장을 한 동양인이 한국사람임을 알려지게 되면서 사진 속 허망하게 카메라를 보던 그의 사진 속 인물을 주인공으로 쓴 작품이다. 소설은 때론 잊고 있었던, 잊고 싶었던 우리들의 기록들을 잊지 말라고 잊으면 안된다고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나에게 조정래 작가의 '오 하느님'은 바로 그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