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녀 이야기 환상문학전집 4
마가렛 애트우드 지음, 김선형 옮김 / 황금가지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마거릿 애트우드의 '시녀 이야기'를 하루만에 다 읽는 동안 내내 마음이 불편해왔다.

어느 날 갑자기 암울한 현실이 되어버린 전제국가 '길리아드'의 세계를, 역시 어느 날 갑자기 남편과 딸을 빼앗긴 채 '시녀'가 되어버린 그녀(오브프레드로 불리우는)는 그저 담담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녀가 들려주는 비참한 현실을 차마 인정하고 싶지 않아 귀를 막고 싶을 지경이 되어, 생각해보니, 언젠가 우리 '여자'가 겪었을 이야기를 되풀이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노예로 전락되어버린 여자들은 오로지 수태만을 강요받는빨간 색으로 상징되는  '시녀'가 있고, 아내로 상징되는 파란색의 '아내'들이 있다.

오로지 선택받은 계층의 남자만의 여자를 할당받을 수 있고 저조한 출산율을 높이는 의무를 갖고 있다.'성'을 계급에 의해 철저히 통제하고 국민들을 폭력으로 억압하는 사회, 책을 불태워 지식을 쌓을 권리를 차단하는 사회 속에서 가장 큰 고통 속으로 몰린 '여자'들과 계급에 의해 인격을 무시당한 채 폭력 속으로 내 몰리는 우리의 아버지, 남편, 남자형제들......생각만해도 너무 끔찍한 세상이다.(특히 어디선가 본듯한 현실때문에)

'시녀이야기'를 통해서 바라본 미래 상은 공포 소설못지 않은 충격과 공포심을 주었지만, 외면만은 할 수 없는 이 세상 곳곳의 여자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했다.

아직까지도 '시녀'와 같은 처지에서 벗어날 수없는 여자들, 노예와 다름없는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여자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없는 여자들......

어쩌면 시녀 오브프레드가 가지는 한 줄기 희망에 불을 환하게 켜는 것은 이 책을 읽고 있는 모든이의 몫일지도 모른다.

단지 그녀만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