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오는 날 비룡소의 그림동화 12
에즈라 잭 키츠 글.그림, 김소희 옮김 / 비룡소 / 199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 이 동화책도 추천을 받았는데, 이책은 그저 밍숭맹숭하다.  물론, 동화책 속에 눈을 밟는 소리와 눈을 기다리는 아이의 마음등이 잘 표현돼 있지만, 듣는 우리 꼬맹이의 반응도 신통찮고, 읽는 나도 사실 그다지 신이 나지 않는 동화책이었다.

읽어주면서 지루해져버리는 느낌이 든다고나 할까?  우리 꼬맹이도 아직은 눈에 대한 감이 없고, (특히나 눈이 잘 내리지 않는 우리동네에선) 어떤 공감도 사지 못했다.  과장된 표현도 할 수 없었고, 어떤 제스쳐도 꼬맹이에게 무반응을 이끌어 낼 뿐이었다.

읽어주는 내가 솔직히 신이 나지 않으니, 아이도 그다지 반응이 없는 듯한 기분이다.
조금더 크면 눈에 대한 호기심과 함께 이책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려나?  아직은 우리 꼬맹이가 감당(?)하기엔 별로인 책인가 부다.  그리고, 어른이 내가 읽기에도 뭔가 좀 아쉬움이 남는 동화책이다.

눈이 녹을까봐 걱정하는 주인공,  눈을 내일도 가지고 놀려고 호주머니속에 넣어 오는 발상은 아이다운 참신함이지만, 이제껏 읽어온 동화책 속에서의 참신함은 아닌듯하다.  물론, 눈이 녹아버린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우리 주인공은 실망하지만, 뒷날도 역시나 눈은 주인공의 눈앞에서 녹지 않고 남아있었는걸 뭐.  좀더 참신하고 재미난 동화를 기대하는 나와 우리 꼬맹이에겐 쬐끔 실망인 동화책.  (하긴, 아직 우리 꼬맹이의 마음은 내가 아직 모르니 뭐라 말하긴 그렇치만, 반응은 별로 없었다는 말)

그림체도 그다지 와닿치 않는 뭔가 약간은 아쉬운 동화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 사계절 그림책
울프 에를브루흐 그림, 베르너 홀츠바르트 글 / 사계절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와, 오랫만에 동화책에 별다섯을 주는 기분이다.  이책은 너무 많이 봐와서 언젠가 사야지 라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이상하게 동화책을 살때도 이책이 리스트에는 빠져있는 거다.  근데, 이참에 아이와 관련된 책을 막 주문하다가 이번에 이책도 샤샤샥~ 끼어넣어 구입했다.  워낙 유명한 책이니 그 이름값을 하겠거니 하는 기대치가 있어 어쩌면 실망하지 않을까 했었는데, 이런, 무슨 실망.  완전 대박이다.

책 넘기기는 좋아해도 읽어주는것에는 아직 길들여지지 않은 우리 꼬맹이를 위해서 간만에 저녁에 데리고 자면서 동화책을 읽어주려고 이책을 집어들었다.  허스키한(?) 목소리로 우리 꼬맹이에게 읽어주는데 이거 완전 아이는 무표정인데 내가 너무 웃겨서 혼났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그 상황자체가 어찌나 재밌고 기가막히던지 읽으면서 "이거 대박이다" 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이책은 바로 우리 꼬맹이가 손이 아직 닿치 않는 책장으로 쏙~ 

아직은 읽기보다 듣기보다 찢기를 좋아하는 우리 꼬맹이가 이렇게 재밌는 책을 찢어버리는 건 너무 맘 아프기에 조금 더 자란후 이 재미난 책을 읽기 바라는 맘에 당분간 킵해두기로 했다.

똥을 둘러싼 두더지의 주인공 찾기 과정도 너무 재미나지만, 그 범인을 찾았을때의 두더지 반응도 너무 웃겨서 혼자 깔깔댔다.  물론, 처음에 우리 꼬맹이도 약간은 무표정이 었지만 내가 일부러 과장해서 "아니야~아니야~"라고 외쳤더니 막 좋아서 웃는다.

역시 아이들에게 "똥" 얘기가 먹힌다는게 사실인건가?  아이들은 "똥, 똥,"거리며 얘기해주면 좋아한다더니, 거짓말이 아닌 모양이다.  우리 꼬맹이 역시 처음의 무표정과는 다른걸 보니..... 어쨌거나 그래도 찢어질세라 일단은 좋은자리에 보관했다가 내가 동화책 읽어줄때마다 다시 꺼내서 또 한번 연기를 펼치며 읽어줘야겠다.  이 동화책 재미나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없다, 없다. 까꿍놀이 - 0~3세 아기 그림책 가면놀이
조윤정 지음 / 토피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아이와 놀아주는것, 아이의 동화책을 읽어주는것, 그리고 그외 기타 육아에 대해 고민을 많이해오고 있고, 지금도 여전히 답이 없는 상태다.  특히나, 내가 옆에서 직접 보고 기르지 않는다는 것에서 오는 아쉬움과 안타까움, 그리고 미안함이 담긴터라 나는 스스로를 더 자극해서 아이에게 뭔가를 더 해줘야한다는 안달스러움까지 더해진다.  그랬더니, 주위에서 엄마가 그런마음을 가지면 안된다고 한다.  그런데, 참 그게 쉽지않다.  뭔가 늘 부족하게 해주는 거 같아서 조바심이 난다고나 할까.  어쨌거나 나는 쉬는 주말에도 아이와 놀아주는 건 늘 서툴다.  어떻게든 해보려하지만 이도저도 되지 않는다고나 할까?

그런 나에게 주위분들이 육아서와 다른 동화책들을 많이 추천해주셨다.  그래서, 일단 받아적어둔것 중에 하나가 이 동화책이다.  원래 아이들은 "까꿍" 거리며 장난치는 걸 좋아하니, 나도 일단 기대를 하고 받았더니, 어라? 이거 원 글이 없다.  아니, 물론 글이 있긴있다.  아주 쬐끔...... 대신, 강아지와 곰과 코끼리등과 같은 동물 그림이 그려져 있다.




대신 가운데 눈이 뻥 뚫린채로....
이거 이거..어찌 놀아줘야하나 고민을 막 하다가...
구멍사이로 눈을 쳐다보며 아이에게 까꿍을 외쳐봤다.
어어어어?? 우리 꼬맹이 엄청 좋아한다.
까르르르..웃어 넘어간다.
대 성공이다.  이정도 일줄은 몰랐는데 어찌나 좋아하는지..
몇번을 그렇게 놀아줬더니 조금 질려하긴 하지만
다음날이 되어도 잊지않고 이 책을 가져온다.
그래서, 나는 또 "까꿍" 거려주며 놀래켜준다.
그럼, 다시 까르르르르~~~
의외로 이책 "괜찮다~" 라는 나의 생각...
성공이다..

사실 이런 동화책이 글도 없는 이런 동화책이 뭐냐? 하며 한순간 당황했었는데, 아이가 이렇게 웃어주니 엄마로선 그저 고맙기 그지 없다.
게다가 추천해주신 분들께도 왠지 고마움이 마구마구 솟아난다고 할까.

단, 주위할점은 우리 꼬맹이 내가 눈을대고 까꿍거리면 그 속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버린다는 거다.  처음엔 눈이 찔려 따끔거렸지만, 지금은 요령이 생겨서 꼬맹이가 손가락을 집어넣으려고 하면 눈을 감아버린다.  아주 아주 위험하다고 이거..ㅡㅡ;;;

그점만 주의한다면..이 책은 그야말로 아이와 장난치기에 아주 좋은 땡큐베리 감사다.
글 없는 책이지만, 아이와 공감하며 놀기엔 아주 좋은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님 안녕 하야시 아키코 시리즈
하야시 아키코 글ㆍ그림 / 한림출판사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꼬꼬마는 늘 책은 가까이 하지만, 읽는대신 찢어버린다.  하긴, 이제 겨우 두돌도 안된 꼬맹이에게 뭘 더 바라겠는가.  고나마 책을 가까이하고 책이 보이면 덤비는 것에 감사해야 하는건지도 모르겠다.  그런데도 참, 사람이라는 게 내가 책을 좋아하다보니 꼬맹이도 책을 좀 좋아하고 듣는것도 읽는것도 좋아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읽는거야 어차피 지금 당장은 어려운 일이고, 내가 읽어주는 것만도 진득하게 듣고 있었으면 좋겠는데 우리 꼬맹이는 그마져도 잘 안된다.  그저 자기가 들고 찢는게 최고인거다.  물론, 그건 내 책임도 무척이나 크지만......
옆에 데리고 자면서 잠들기전에 조용조용한 목소리로 동화책을 읽어줘야하는데 직장다닌다는 이유로 내가 데리고 자지도 않고 할머니께 맡겨버리니 엄마로서 내가 제대로 할짓(?)을 못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꼬맹이를 탓하는건 정말 내가 나쁜엄마라는 증거다.

어쨌거나 그런저런 이유로 꼬맹이의 육아문제와 책에 관한 문제들이 늘 난관에 부딪히고 고민을 하고 있던차에 육아선배들로부터 이 동화책을 추천받았다.  추천해준 언니의 말에 의하면 이 동화책을 읽어주면 저녁에 혹여나 밖에서 달님을 보게되면 "저기 달님 보이네" 라고 엄마가 하면 꼬맹이가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다.  

아아아~ 그런데, 우리 꼬맹이 녀석 아직 그런기미도 없거니와 기껏 같이 놀아주면서 이책 읽어준다고 했더니 듣는척도 안한다.  슬픈현실이로다.  하지만, 희망을 버리진 않는다.  달님안녕 이라고 손까지 흔들어가며 열심히 읽어줬다.  짤막짤막 짧은글에 구름이 가려진 이야기까지 전부 들어있다.  게다가 이책은 찢기마져 쉽지않아서 꼬맹이가 뒤적거리기만 하고 있다.  아직 진정한 이책의 의미를 깨닫지 못한 꼬맹이지만 언젠간 알아주리라 느끼며 놀때마다 이책을 허스키한(??) 내 목소리로 열심히 읽어주는 중이다.

언제쯤 우리 꼬맹이 달님 안녕~! 이라고 인사할끄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냐, 넌 - 카툰으로 읽는 20.30대 성공학
최윤규 지음 / 휴먼비즈니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사실 카툰이나 짧은 글귀들을 한창 좋아하던 때가 있었다.  물론, 지금도 뭐 그렇게 싫어하거나 하는건 아니지만, 예전만큼은 아니다.  어쨌거나 이책을 고를때쯤은..... 그러니까 이책은 사둔지가 꽤 된 책인데도 불구하고 이 책을 산 기억이 정확히 나는건 책 제목이었다.
카툰이나 성공하기 위한 20~30대의 그런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순전히 책 제목 때문이었다.  30대를 들어선지 두어해쯤 지난시기였고, 결혼이라는 것을 해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 고민도 있던 시대에 나는 정말 무엇보다도 내가 누군지 알고 싶었다.  도저히 답이 없는 나를 누군가 찾아주기를 원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우연히 발견한 책 제목이 희한하게도 <누구냐 넌?> 이었다. 

아아, 나도 내가 나를 모르는데, 그야말로 유행가 가사처럼 넌들 나를 알겠느냐마는 그래도 어떤지 그 시기에 나를 찾아줄것만 같은 기분이 들었다고나 할까?  그래서, 나좀 찾아주소~ 하는 기분으로 이책을 구입했었던것 같다.  그런데, 참 공교롭게도 이 책을 구입한 쯤에 신랑을 만났고 나는 내가 누구? 라는 생각을 할 틈도 없이 후다닥 결혼을 하는 바람에 이책은 내 기억 어디쯤엔가 파묻혀 버리고 말았다.  그러다, 얼마전 책장을 휘~둘러보다 눈에 들어온 제목.  <누구냐 넌?>

이젠 나를 찾는, 내가 나를 찾아가는이 아니라 도대체 이책이 궁금해졌다.  정말 이책 제목대로 책 너 <누구냐 넌?> 이라고 해야할까?  그래서, 얼마전부터 눈독을 들이고 있다가 어제 오늘 손에 들고 금방 읽어버린 책이다.

그런데 말이다.  참, 제목에 혹해서 구입하고 제목이 와닿아서 읽긴 했는데, 나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제목에서 말하는 짧은 글귀들을 곱씹어 보고, 그림들을 은미해보지만 그다지...... 뭐랄까 깊이 있게 와닿치는 않는다.  누구냐고 해봐야 답은 없는 그런 글귀들이라고 해야할까?

나자신을 찾을 수 있을만큼의 깊이있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카툰은 아니다.  그냥 휘리릭 책장 쉽게 넘기고말 그런 이야기들이 요약 돼 있을 뿐이다.  지금도 이럴진대 방황(?)하던 그때 이책을 펼쳤다면 그 실망감은 어이 했을꼬?  고나마 지금은 아무생각없이 읽어 별 감흥도 재미도 느끼지 못했지만, 그 시절에 이책을 큰 기대하며 봤다면 엄청나게도 실망했을거 같은 생각이 든다. 당최 넌 누구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