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두 달 태양이야기 - 열두 달 자연 이야기 4-자연의 아이들
우나 야콥스 글.그림, 김경연 옮김 / 풀빛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한결같은 모습으로 빛을 발하는 태양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림책으로 "열두 달 자연 이야기" 시리즈의 네 번째 권. 지구에 밤과 낮이 생기는 이유, 태양의 높이와 위치에 따라 변하는 지구의 자연과 동물들의 생태 등에 대해 알기 쉽게, 차분한 문장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따스한 기운을 풍기는 노란 표지가 이 책의 주제인 태양을 잘 드러내 주고 있으며, 표지에서도 실린 섬세하고도 세밀한 화풍으로 그려진 동식물의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태양이 발하는 빛 중 적은 양만이 지구로 들어오지만 그 빛 덕분에 지구 상에 생명체들 자랄 수 있다. 사물의 색깔도 햇빛을 반사하는 것에 따라 달라지며 공기와 물의 순환도 바로 햇빛과 태양열의 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이 책은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따라 생기게 되는 낮과 밤, 사계절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과 같이 태양이 떠서 질 때까지의 시간의 길이가 바뀌는 시점을 "태양의 길" 그림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생기는 자연의 변화에 대한 설명을 통해 광합성, 태양 에너지, 생체 시계, 해시계, 자손 번식, 먹이 사슬 등에 대해 알게 된다. 가령 <식물의 낮과 밤>에서는 그늘 속 식물, 햇빛 속 식물, 잠자는 식물, 밤에 꿀을 만드는 식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위쪽 그림에서는 민들레와 달맞이 꽃이 환경이나 시간대에 따라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알 수 있다. 태양이 빛을 비추는 시간대에 활동하는 낮동물과 해질 무렵에 모습을 드러내는 밤동물의 생태도 알 수 있다.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 빛을 받아 반사하는 달의 모양 변화도 그림을 통해 설명해 놓았으며, 나무, 석탄과 같이 에너지가 어떤 방식으로 축적되고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알 수 있다. 과학 시간에 배운 학습 내용을 외우는 방식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적절한 그림과 전반적인 상관관계를 설명해 주는 책을 통해 지식을 흡수하는 것이 훨씬 더 인상 깊고 오래 기억에 남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의 "차례"는 본문 뒤에 실려 있으며, 태양과 지구의 진짜 크기를 비교할 수 있도록 태양 가장자리와 지구의 크기를 비례대로 그려놓았는데, 이 그림을 보면 태양이 얼마나 큰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일식과 월식이 발생하는 이유도 설명해 놓는 등 태양이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환경과 생물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일깨워 주는 책이다.
- 20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