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아이네 학교는 7/2부터 기말고사를 치른다. 시험 준비는 적어도 한 달, 최소 2주 전부터 시작해도 시간이 모자란다고 생각하는 엄마 마음과 달리 아이는 참으로 느긋하다. 이번 시험 역시 벼락치기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그 벼락치기 공부라도 좀 하고 시험에 임해야 하지 않겠나. 도저히 안되서 그제부터 엄마가 있어야 공부가 된다는(한 마디로 엄마가 안 봐줘서 공부를 못했다는 핑계거리)- 작은 아이를 붙들고 한 두시간씩 과학 시험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다.
- 큰 아이 때는 제가 알아서 혼자 공부해서 안 봐주었더니 교과 내용들이 다 새롭다. -.- 교과 내용이나 문제 풀 때 내가 오락가락 하는 부분들이 종종 있으니 작은 아이가 엄마는 생물학과 나왔으면서 모르냐고 투덜거리고 핀잔을 준다. 에잇, 이래서 나이 먹어도 잊어버리지 않도록 배운 것도 다시 찾아보고 익혀야 하나 보다. ㅠㅠ
공부한다고 자기 방에 들어 앉은 날은 98% 자고 있는 아이에게 어떤 말을 해야 마음을 다잡는 계기가 될까? 학기 초에 자기주도학습 관련 책도 사달라고 해서 사줬건만 소용이 없네 그려. 언니랑 비교하면 자존심 상해하는 터라 가급적이면 삼가하는 편이긴 하지만 종종 예를 들지 않을 수가 없다. 6/7인가? 큰 아이가 6월 전국연합 학력평가를 치렀는데, 나름 내공이 있다 싶은 국어 과목도 실수로 틀린 게 있다고는 하나, 학교 자체 등급에서 3등급(94~92점)을 받았다. 1등급은 100~98점. 두 개 틀리면 2등급으로 내려 앉는다는 얘기다.
- 고등학교 입학하고 부터 공부가 부족함을 절실하게 느끼는 영어의 경우 100~100점이 1등급이라는 학교 자체 성적표 내용을 보고 학생들의 뛰어난 공부 내공에 한숨이 나왔다. 그야말로 하나만 틀려도 한 등급이 내려 앉는 거다. (딸 애는 90점으로 3등급) 최근에 읽어 본 어느 기사에 어느 학부모가 언, 수,외, 탐 네 과목이 하나씩 틀리면 SKY 갈 수 있지만 두 과목이 두 개씩 틀리면 못 간다는 현실에 기가 막혀 유학을 보내거나 이민을 가던가 해야겠다는 요지의 말이 와닿았다고나 할까~.
그런데 오늘 포털에서, 반 1등에 반장 하는 고2 학생이 자살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았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6201752381&code=950312
전교 10위권에 드는 아이였는데 성적 비관(7일에 모의 고사를 잘 못 봤다고) 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성적 때문에 목숨까지 버리는 이 답답한 세상에서 큰 아이가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채근하지 않고 묵묵히 지켜봐주어야 하는데 그럴 수 있을지, 내가 자신감이 없다. 어제도 밤에 와서 과제 한다고 컴 앞에 앉아 놓고 웹툰 보면서 울었다는 아이에게 과제부터 하고 보라고 핀잔을 주지 않을 수 없더라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어떤 것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는 작은 아이. 공부에 큰 흥미가 없는 작은 아이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앞으로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깨닫는 일 일게다. 그럼에도 공부는 해야 한다는 생각에 아이에게 제 언니가 처한 이런 현실을 언급하며 조금이라도 일찍 공부를 시작하라고 말을 하긴 했는데 그런 말들이 과연 가슴에 와 닿을까? 대학에 가지 않고 행복하게 살아갈 방법이 많다고는 하는데 작은 아이가 당차게 그런 길을 갈 수 있을지, 학력이 우선시 되는 이 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을지 아직 잘 모르겠다.
* 사족 : 일전에 < 해법 열공 1학기 기말 기출문제집 중2 (국어부록선택) >를 주문했는데 별책 선택은 잘 했는데 도서 검색으로 바로 장바구니에 담으면서 "[집중이수제 부록을 꼭 기록해주세요. (책소개 참고)"라는 문구를 못 보고 집중 이수제 과목인 역사 교재를 (주문과정 중 [배달원에 남기는 말]에 직접 입력) 빠트리고 주문하지 않는 실수를 범했는데 뒤늦게 그 사실을 알고, 무엇보다 내 실수라 새로 보내달라고 하지도 못하고... ㅜㅜ 다음에는 이런 실수 하지 말자고 다짐하는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