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치 포 아메리카와 헌장학교


‘슈퍼맨을 기다리며‘에 등장하는 학교 중에 KIPP LA 대학 준비반 고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는 ‘아는 것이 힘이다. 프로그램(Knowledge Is Power Progran, KIPP)에 가입되어 있는 140여 개 학교들 중 하나다. KIPP 학교들은 공교육에 대한 ‘무관용(No Excuses)‘ 접근법을 대표하는 학교들로서, 규율과 품행을 강조하고 하루의 수업 시간과 수업일수가 길고 교원들을 선택적으로 채용하고 전통적인 읽기와 수학능력을 강조하는 현장학교의 모범을 보여 준다. 이 모범을 많은 학교들이 따르고 있다. KIPP은 1995년 휴스턴과 뉴욕 시에서 ‘미국을 위한 교육(Teach for America)‘
프로그램 -미국에서 가장 들어가기 어려운 대학들을 최근에 나온 수천 명의 졸업생들을 채용해 성적이 좋지 않은 지역의 학교들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도록 하는 프로그램 - 의 지지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현재 KIPP 네트워크에 속해 있는 학교들에서 흑인과 히스패닉의 비중은 95% 정도이고, KIPP 학생의 80% 이상은 연방정부의 급식 지원 대상에 속할 만큼 저소득층에 속한다." - P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신정권의 사병과 관군

최충헌의 장기 집권 시스템은 권력은 강화했지만 국방력은 약화했다. 최충헌은 권력 유지를 위해 국방력은 오히려 약화하는 게 좋다고 생각했다. 최충헌은 도방을 강화하기 위해 관군을 약화했다. 자신의 문객 중 관군이 되겠다는 사람은 즉시 귀양을 보냈다. 체격 좋고 힘 좋은 젊은이들을 도방의 병사로 뽑아 우대했다. 최충헌 가문의 사병이 열병하면 그 길이가 2, 3리에 달했다 한다. 그에 반해 관군은 용맹하고 쓸 만한 사람이 없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yuq1wysjpc5hVs28

거란군이 개경에 육박해 들어오자 최충헌은 군인 수만 명으로 하여금 자신을 지키게 했고 성 밖의 민가를 헐어서 참호를 팠다. 자신의 안위만이 문제였다. 개경에 육박해 들어오던 거란군을 조충과 김취려 장군이 힘들게 물리쳤다. 1219년(고종 6) 3월 공을 세운 서북면원수 조충과 김취려 등이 개경으로 개선해오자 최충헌은 그들이 세력을 가질까 두려워 개선 의식인 영아례迎迓禮를 중단시키고 장수들에게 사사로운
잔치를 열어주었다. 그 예산도 국가 예산이 아닌 백관들에게 은을 추렴해 충당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7AWpn9LkPVMk4ird7

최충헌은 거란과의 전쟁 중에는 무관 인사 청탁을 하는 이들이 없어 뇌물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정기 무관 인사인 도목정都目政을 시행하지 않았다. 그러다 거란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인사 요청자가 많아지자 그제야 도목정을 시행했다. 그런데 군공을 세운 이는 승진시키지 않고 뇌물을 바친 자만 승진시켰다. 군사들의 불만이 없을 수 없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FpDCANzEetoTWBYm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신정치의 다이나믹스

명종은 오히려 경대승에게 위협을 느꼈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대승이 ‘사직을 지킨다’는 이유로 정중부를 제거했는데, 명종은 이를 경대승이 자신을 부정한다고 인식했다. 형 의종을 제거한 무신정변이 아니었으면 명종은 즉위하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Vom4MHAbEqxwFBtU9

명종은 경대승 대신 무신정변을 주도한 이의민이 오히려 자신의 보위를 지켜주기에 적절한 인물이라고 보았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ahCsnxFwyk3doAG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량원군, 현종과 대각국사 의천의 공통점은?

헌정왕후는 귀양 가는 왕욱을 집 앞에서 전송한 직후 문 앞 버드나무 가지를 붙잡고 대량원군을 출산했다. 그리고 출산 직후 헌정왕후는 사망한다. 성종은 사생아가 된 대량원군을 품에 안아 기른다.
이런 불행한 성장 과정에 있던 외조카였지만 천추태후에게는 걸림돌일 뿐이었다. 천추태후는 대량원군을 절로 보내 승려가 되게 했다. 고려시대에 왕자들이 승려가 되는 것은 잉여 권력을 처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대량원군은 왕씨 성을 가진 유일한 왕자였다. 이미 유교적 정치 이념을 신봉하는 관료 세력은 대량원군을 다음 왕위 계승자로 옹립하고자 움직였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3jKz9ha7bASLThg58

송으로 가는 험한 길을 택했던 승려는 문종의 넷째 아들이자 당시 왕위에 있던 선종의 동생인
의천義天(1055~1101)이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L5ZY2UKWpDZRCWc19


(최충헌응) 왕자로서 승려가 된 소군 홍기, 홍추, 홍규 등 6명을 궐내에 있으면 정사에 간여한다고 왕에게 아뢰어 사찰로 돌아가게 했다. 또한 왕이 총애하는 승려 운미와 존도를 내쫓았다. 이들은 대부분이 조정 관료와 백성의 원성을 듣는 자들이었으므로 이전의 정적 제거와는 달리 정치적 명분도 있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3sXKWM3LiqHrqdV2A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시우행 2024-01-30 0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젠 고려사도 좀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학과 비공개
- 출사를 목적으로 한 유가 집단은 공자부터.

구재 학당의 학생들은 처음에는 최시중 공도로 불리다 최충이 ‘문헌’이란 시호를 얻자 문헌공도文憲公徒라 불렸다. 문헌공도는 고려 사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켜 명문대가의 자제부터 시골 선비까지 앞다투어 찾아와 입학하려 했다. 그 결과 개경에는 문헌공도 외에도 11개 사학이 설치되어 이를 12도라 불렀다. 그중 최충의 문헌공도가 가장 융성한 것은 당연했다. 당시 과거를 주관하던 지공거는 합격한 급제자를 문하에 두어 일종의 파벌을 형성했는데, 이 사학 12도의 운영자 대부분이
지공거를 역임한 이들이었다. - <하룻밤에 읽는 고려사 >, 최용범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1e7gQ4j39aYsctRC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