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큰아이에게서 카톡이 왔다.
'엄마 Crying in H Mart 읽었어요? 나 시작부터 울었어요.'
평소 영어로 카톡 하는 녀석인데 이번에는 웬일로 이렇게 한글로 썼다.
한국에 계신 분들은 잘 모르시겠지만 H 마트는 한아름이라는 수퍼마켓 체인으로 한국식품 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안 식품을 주로 파는 곳이다. 미전역에 체인이 있고 보통 그 안에 푸드코트가 같이 있는 경우가 많다.
H 마트에서 울다니 이거 뭐지? 하고 찾아봤다. 저자인 Michelle Zauner는 Japanese Breakfast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인디 록 뮤지션이다. 한국인이었던 어머니가 암으로 세상을 떠난 뒤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담아 자신의 성장 과정과 한국 음식 그리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습을 그린 회고록이다. 책이 나오자마자 많은 매체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베스트셀러에 올랐다고 한다.
도서관에 접속해서 종이책, 전자책, 큰 글자 책 모두 다 홀드를 했다. 줄이 엄청 길더라고. 언젠가 차례가 오겠지 했는데 지난 일요일 마더스 데이에 큰 아이의 선물로 도착했다. (아니 좀 더 자세히 말한다면 큰아이가 보낸 선물을 둘째가 예쁘게 포장해서 일요일에 나에게 주었다)

(엔양이 마더스 데이라고 사 준 티 찬조 출연. 저 보바집 이름이 코리안 로즈다. (보바티는 원래 대만 거인데 코리안이랑 무슨 상관일까?) 나는 무궁화를 영어로 Hibiscus 또는 Rose of Sharon 이라고 부르는 줄 알았는데 Korean Rose 라고도 부르나보다)
dedication page에 For mom이 아니라 For 엄마라고 쓰여있는 걸 본 순간 벌써 눈물이 글썽.

솔직히 말하면
나의 엄마를 생각하기보다는 나의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엄마인 나의 모습을 돌아보면서 조금씩 읽는 중이다.
이 책이 궁금하신 분을 위해 2018년에 New Yorker에 실렸던 동명의 에세이 링크입니다.
(책의 첫 부분이기도 합니다)
https://www.newyorker.com/culture/culture-desk/crying-in-h-m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