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책은 누크 심플 터치로 한글책은 갤탭 2로 사용하다 보니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먼저 갤탭으로 보는 경우 눈의 피로도가 너무 크다는 점이다. 작년 4월부터 <밀리의 서재>를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무료 한 달만 하려고 그다음에는 두어 달만 더 하려는 마음에 미친 듯 읽어댔더니 시력이 팍팍 나빠지는 게 바로 느껴질 정도였다. 안 그래도 나이와 노안 탓에 침침한 눈이 악화 되어 뭔가 조치가 있어야 하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한 5년 전부터 영어책은 더 이상 사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모든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 읽고 있다 (놀랍게도 이 다짐은 아주 잘 지켜지고 있다. 한 권도 안 산 건 아니지만 일 년에 한 권 정도의 책만 구입함) 우리 동네는 퍼블릭 도서관과 카운티 도서관 두 군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코로나 이후 한동안 도서관을 닫아 종이책을 빌릴 수가 없고 전자책만 빌릴 수 있었다. 퍼블릭 도서관의 전자책은 쉽게 누크에 담아 읽을 수가 있지만 카운티 도서관의 경우 새로 만든 앱을 깔아야 하는데 갤탭 2가 오래된 태블릿이다보니 도서관 앱을 깔 수가 없는 것이다. 퍼블릭 도서관에는 없고 카운티 도서관에만 책이 있는 경우 안타깝지만 읽지 못하거나, 남편 태블릿을 빌려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카운티 도서관 앱뿐 아니라 '밀리의 서재'도 갤탭 2에 깔 수가 없기 때문에 읽기 전용앱 apk을 깔아서 사용했는데 이건 말 그대로 읽기 전용이라 컴퓨터에 들어가서 책을 고르고 찜을 한 뒤 다시 앱으로 돌아와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안 그래도 <밀리의 서재>앱이 불안정한데 이런 방식을 사용하니 하다가 오류가 나거나 잘 안돼서 짜증이 날 때가 종종 있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전자책 전용 단말기를 하나 장만해야지 하고 찾아보니 새로 나온 크레마 시리즈 중에서 골라보면 어떨까 생각이 들었다. 내가 샀던 크레마 터치는 너무 초창기라서 그랬던 걸 거야. 요즘 나오는 건 괜찮겠지. 평도 나쁘지 않잖아. 그러면서도 선뜻 사겠다라고 마음 먹지 못하던 차에 우연히 구글 뉴스에서 오닉스 북스라는 전자책 전용 단말기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나는 처음 들어보는 제품이라 검색을 해봤는데 이게 전자책 단말기로 꽤 유명하네? e-ink 화면으로 여러 사이즈가 나오고 있어 와 이거 맘에 든다 했는데 세상에 가격이.... 가격이... 너무 비싸다. ㅠㅠ 그래서 오닉스를 사려는 마음을 접었다.
마음을 접었다면서도 계속 기웃기웃. 갑자기 포크 2가 세일을 한다는 글을 보았다. 포크 2는 너무 작은 거 같아서 고려 대상이 아니었는데 정신을 차려보니 이미 결제를 누른 나의 손. (내가 구입한 뒤 후속 모델이 포크 3과 e-ink지만 칼라인 포크 칼라가 나왔다. 그래서 세일을 했던 거였음.)
*오닉스 북스 포크 2 (Onyx Boox Poke 2)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3/pimg_7437921932839337.jpg)
약 6개월간 사용했는데 현재까지는 대만족이다. 하지만 중국 회사라 내구성이 얼마나 좋은지는 알 수 없다. 몇 년 후에 화내면서 다시 글을 쓸지도 모른다.
혹시 이게 어떤 건지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오닉스의 북스 시리즈는 말하자면 아이패드나 갤탭 같은 태블릿인데 e-ink 화면인 것이다. 그러니까 흑백 버전의 태블릿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있어서 우리가 스마트 폰에 하듯 앱을 깔고 쓰면 된다. 어떤 사람들은 이걸로 인터넷도 하고 그러던데 나는 책 관련 앱만 깔아 책 읽는 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루팅이나 그런 것 없이 킨들, 누크, 알라딘, 리디북스, 밀리의 서재등 거기에 도서관 책까지 다 읽을 수 있어 세상 편하다. 도서관이나 밀리의 서재 등을 사용할 때 전처럼 컴에서 빌리고 다시 읽기전용앱으로 올 필요 없이 단말기에서 직접 할 수 있어 좋다. e-ink 화면이라 눈이 피로하지 않은 건 당연하고 와이파이 끄고 있으면 배터리도 제법 오래 간다. 내가 누크에서 아쉬웠던 것이 밤에 볼 수 있게 화면 뒤에서 불이 나오는 거였는데 포크 2는 그게 된다. 밝기의 정도도 조절할 수 있음.
6인치라 좀 작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는데 누크 심플 터치 화면 사이즈와 같기 때문에 나에게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작고 가볍기 때문에 누워서 읽을 때도 편하고 가방에 넣고 다녀도 부담 없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3/pimg_7437921932839339.jpg)
사이즈가 궁금하신 분이 있으실까 봐 비교 샷. 화면이 켜져 있어야 사이즈 비교가 쉬울 거 같아 켜고 찍었다. 포크 2와 누크 심플 터치, 크레마 터치의 화면 사이즈는 같은데 전체 단말기의 사이즈는 포크 2가 작다.
포크 2는 두께도 얇아 케이스를 빼면 스마트 폰 두께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3/pimg_7437921932839340.jpg)
지금까지 대체로 만족인데 마이크로 SD 카드를 넣을 수 없다는 게 아쉽다. 오닉스 북스 제품은 다 그런 듯. XX 전집 이런 거 읽지도 않으면서 막 구입했던 나는 혹시 저장 용량이 부족할 까봐 다운받지 않았다. 사실 다운 받아두어도 읽지도 않잖아. ㅎㅎ
내가 살 때 리모콘을 끼어주었는데 아니 전자책 단말기에 왜 리모콘이?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3/pimg_7437921932839341.jpg)
이렇게 생겼다.
나는 책 읽는 거로만 쓰니 리모콘이 필요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또 쓰다 보니 편하네. 게으름의 끝판왕이다. 종이책처럼 넘기는 것도 아니고 그냥 탁 치면 페이지가 넘어가는 건데 화면까지 팔 뻗는 것도 귀찮아서 손에 있는 리모콘을 클릭하며 페이지를 넘긴다. 누워서 책 읽을 때 무척 유용하다.
쓰다 보니 길어져서 전자책의 장점은 다음에 기회에.
혹 전자책 단말기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네이* 디지털 감성 e북 카페라는 곳에 가면 엄청난 양의 정보가 있습니다. 오닉스 말고 다른 e-ink 로 된 단말기들도 있으니 혹 전자책 전용 단말기를 구입할까 하는 분은 거기 가서 검색해보고 나에게 맞는 단말기를 찾아보는 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