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의 기원
로저 로웬스타인 지음, 이주형 옮김 / 동방미디어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로웬스타인은 미국의 르뽀 문학의 수준높음을 보여주는 작가다. 전작인 천재들의 실패에서 느낀 감동과 교훈을 이번 작품에서도 다시 잘 보여주고 있다. 자신이 대상으로 삼은 분야에 대해서 마치 한편의 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재미있게 주인공들의 욕망과 행동을 잘 묘사해낸다.

이번 작품의 주인공들은 CEO를 위주로 해서 미국 경제의 핵심을 이끄는 관계,정치인들까지 나오게 된다. 잭 웰치에 대한 다른 시각도 보여주고 심지어 대통령 되기전의 부시와 체니의 비리 냄새나는 모습도 나온다. 규제를 통해 기업의 투명성을 확보하려던 위원회에 대해 이를 로비를 통해 무력화시키려는 불량기업가와 이들에게 넘어가는 의원들, 닷컴의 과도한 평가를 거부하다가 단번에 직장을 잃고 마는 애널리스트들과 경영진의 비위에 맞추어 승진하며 거액을 거머쥐는 또 다른 애널리스트들까지 많은 주인공들이 나온다.

이들을 움직이는 가장 핵심적인 단어를 꼽으라면 탐욕이다. 순하게 표현하면 욕망이 되고 건전하게 표현하면 이익의 추구가 될 수 있는 인간의 본성이 결국 거대한 자기 기만을 만들어내고 다시 붕괴되는 과정을 하나의 버블의 일생과 비교하며 보여준다.

이 과정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미국의 민주주의와 경제제도가 가진 일종의 함정을 드러내며 이 함정을 철저하게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교묘함 또한 아주 잘 드러내준다.

마침 장하준의 개혁의 덫을 같이 읽어보았는데 장교수의 핵심 논거 중 하나가 결코 미국의 자본주의가 모범이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 책 버블의 기원은 미국의 핵심을 비춘 거울로서 절대 찬미하기 어려운 미국식 자본주의의 추악함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주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산업현장에선 무슨 일이...
연합뉴스 산업부 엮음 / 연합뉴스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에게 경제신문을 보면서 특히 산업면에 주목하라는 충고를 하게된다. 증권면의 경우 애널리스트의 리포트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보니 대체로 장미빛에 치우친 기사가 많다. 반면 산업면은 잘되는 것과 안되는 것을 두루 다루게 되니 객관성이 높게 된다.

이 책은 그런 산업면을 어떻게 읽고 이해하느냐에 대해 좋은 예를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하이닉스가 꿈에 그리던 추가투자를 흑자를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는 기사는 결국 하이닉스의 턴어라운드를 보여주게 되었고 LNG 도입관련해서 중동국가들이 반대급부로 한국에 LNG선을 발주할 수 있다고 한 점은 조선주와 LNG전문공급업체의 주가에 암시를 준다. 이런식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잘 짜여진 산업기사들로 채워져있다.

단 이런책은 나오자마자 바로 보는 것이 유리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요즘이라는 단어가 퇴색하면서 기사의 가치 또한 뚝 떨어지게 마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패학 정신이 성공을 부른다 - 7억을 빚지고 갚아낸 김동조의 성공전략
김동조 지음 / 마이웨이라이프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앞부분은 저자의 다른 책 <주식작전 대해부> 등에서 나온 내용이 반복된다. 좀 더 살을 붙였지만 골격은 똑 같다. 뒷부분은 이른바 실패학인데 이것도 과거 나온책과 맥이 크게 다른 면이 보이지는 않는다.

저자는 오랜시간 명강사로 이름을 날리고 자신이 만든 주식투자 기법과 실패에 따른 경험을 전파해왔다. 이렇게 만든 수입으로 빚7억을 다 갚을수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새로 나온 책들은 자신만큼이나 아픈 기억을 가진 사람들의 경험을 모아 발전된 형태로 나오는 쪽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15억 벌어서 35세에 은퇴했다
이선무 지음 / 원앤원북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재테크 붐에 따라 쏟아내지는 책 중에 하나일 뿐.

별 특별한 내용은 없고 대부분 다른 책에서 찾을 수 있는 내용임.

조상훈책과 비교해도 여러모로 떨어짐.

이왕 돈과 시간을 투자할 것이라면 좀 더 좋은 책을 찾는 것도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전창협 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가부터 갑자기 우리 생활에 다가온 브랜드들이 있다.

미샤,아이리버,손오공,실미도 등등. 갑자기 다가왔고 왕창 크게 벌였기 때문에 이들을 대박이라고 부른다. 이런 대박을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답을 찾아나간 결과물이 이책이다. 음반,영화,공연(난타),완구(손오공) 등 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실렸는데 이 분야는 원래 도박성이 강한 투자들이다. 되면 대박 안되면 도박, 이런 공식으로 일해오느라 승부사 감각이 강한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이들도 시도하는 것 모두를 성공으로 끌고가지 못했고 보다 중요한 것은 실패에서 좌절하지 않는 것이라고 토로할 때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연예분야를 빼고 보면 미샤와 블루클럽과 같은 체인점이 나오는데 이들 모두 가격파괴를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할인점에서 이마트가 뜨는 것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다들 보면 미치도록 자기일을 좋아했고 주변에서 뜯어말리는데도 끝까지 밀어붙이는 추진력이 있었다는 장점을 보여준다.

대체로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지만 들여다보면 흠도 나타난다. 아무래도 나오는 인물에 대해 칭찬 일변도로 서술하다보니 약점을 잘 못보여주는 것 같다. 가령 강우석의 경우 그가 영화에서 벌어들인 돈을 다시 영화에 계속 투입하는 것을 보여주면서 사심 없이 헌신하는 인물로 그려낸다. 하지만 2003년 플래너스를 만들면서 늘린 지분을 고점에서 계속 매도해가지고 약 4배의 시세차익을 보인 재테크 기법이나 합병 1년만에 다시 갈라서버리는 일관성 없는 경영이 주주에게 끼치는 손해에 대해서는 별말이 없다. 아마 이런 흠결은 다른 주인공에게도 나타날 것 같은데 아쉽게도 별로 나타나는 점이 없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주변에 권할만한 수준이 된다. 이론적인 성공학 책보다는 훨씬 많은 점을 배울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