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의 이동 - 지금까지 세상에 없던 성공의 방식
데이비드 버커스 지음, 장진원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영은 종합 예술이다.

덕분에 경제,기술,정치 등 다양한 요소의 변화를 다 받아들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핵심은 딱 하나.

경쟁에 이기기 위한 모든 것을 다 수용하고 배운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경영인들은 종합의 달인이고 유연하다.


미국에는 핫하게 뜨는 신흥기업인들이 많다.

그들이 한 독특한 경영 기법에 대해 이 책은 모아 소개를 한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자포스가 신입연수 마치고 돈줄테니 나가라고 하는 일이다. 수백만원을 들여서라도 조직과 동화되지 않을 사람은 솎아내는 것이 바른 길이라는 논리다. 예전에 육군사관학교에서도 입학전 사전교육을 통해 나갈사람을 걸러내는 걸 보았었다. 차라리 아니라고 생각되면 빨리 내보내는 것을 기업의 공개적인 규칙으로 만들어 시행하는 것인데 이 개념이 더 확산된 건 아마존에 인수된 후 제프 베조스가 더 폭넓게 시행한 덕분이다.


또 다른 기업에서 이메일을 금지하라는 것도 파격적이었다. 

의사소통이라는 본질은 사라지고 메일 보내는 행위만 늘어나면서 마치 send 버튼을 누르는 것이 일을 다 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이는 국내 현대카드가 파워포인트를 사내회의에서 금지시킨 것과 맥이 통한다. 외견을 멋지게 만드는데 집중한 셈이다. 나도 최근에 그런 피티를 하나보았는데 매킨토시를 사용해 너무나 멋지게 만든 피티였지만 핵심질문에 답이 없어서 안타까웠었다.

이메일의 홍수는 한국에서는 SNS를 통한 업무지시 금지론으로도 이어진다. 

정답은 없지만 자율적으로 만들어지는 문화에 기댈 수밖에 없는데 이걸 외형적인 규칙으로 만들어시행하는 것 또한 의미 있어 보였다.


책은 이런 경영 사례들을 골고루 다루는데

휴가 정책 등 독특한 이야기가 많다.

이런 기업이 되는 건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그 근저에는 현대미국의 벤처들이 과거에 비해 소규모의 고성과 지향으로 되었기에 가능한 셈이다. 그리고 근저에는 관리감독을 위한 인프라의 발전이 있다.

한국에도 비슷한 경우들을 찾아 볼 수 있었는데 경영의 통찰은 보편적이지만 이를 공개적으로 규칙을 만들고 적극 시행하면서 시행착오를 통해 보완한 사례들을 모았기에 이 책의 독서는 의미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