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의 상인 - [할인행사]
마이클 레드포드 감독, 제레미 아이언스 외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처음 영화보기 전에 가진 기대.

1. 셰익스피어의 문장을 어떻게 표현했을까 궁금
2. 알파치노가 연기하는 악역 샤일록은 어떨까. devil's advocat 만 할까
3. 베니스의 풍광은 어떻게 나타날까

영화 다 보고 나니
1번은 어째 어정쩡하게 개작된 것 같아 잘 모르겠다
2번은 샤일록이 유태인 세계 전체를 대변하려고 나서는 것 같은 느낌이 많이 들었다.
주변과 같이 어울리지도 못하는 슬픈 모습인데 배우의 무게 보다는 낮았다.
3번 일부 충족되었으나 그렇게 만족스럽지는 못했다. 기대가 너무 컸나?

종합 평점은 별 세개.

처음 출발은 친구를 위해 위험에 놓인 자산을 바탕으로 빚을 내는 것이다.
배가 실고 올 화물이 있으니 이 정도는 빌려도 된다 단 대여조건이 목숨을 거는 것이 된다.

여기서의 교훈은 절대로 빚을 내서 무엇을 하려고 하면 안된다가 된다.
남을 도와준다. 그런 바보짓이 있나? 자기 처신도 못하는 친구가 빌린 돈 가지고
부잣집 상속녀 잘 꼬셔서 다시 갚겠다고 하는 일종의 사기극에 돈을 대준다.
이건 절대로 따라하면 안 될 일이다.
현대판으로 고치자면 주인공 베사니오가 배와 노꾼을 빌려가는 것은
고급 외제차 리스해서 타는 것이고 겉 모습 잘 꾸미는 것은 명품족이 되는 것이다.

이런 친구한테 돈 빌려주고 싶습니까?
더구나 목숨 걸고.
셰익스피어 인 러브라는 영화를 보면 몰락한 귀족이 신흥 상인의 딸을 맞는데
목적은 막대한 지참금이라는 내용이 나온다.
아마 여주인공의 경우도 구혼자들의 면면은 그런 특성을 가졌을 것 같다.
여자들의 신데렐라 스토리 만큼이나 남자들의 온달 스토리가 되는 것이다.

샤일록이 아니더라도 현대판 몸팔아서 빚 갚아라 하는 이야기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도박묵시록 카이지에 잘 나오는데 그런 이야기가 요즘에는 한국에서도 나타난다.
강원랜드, 바다이야기 등.

결과적으로 보면 유태인이 왜 법조계에 많이 진출할 수 밖에 없는지 이유가 자명하게 나온다.
살점을 떼네면서 피를 보지말라는 것은 어쩌면 과도한 문구의 해석인지 모른다.
저울을 놓고 더도 덜도 떼어가면 안된다고 윽박지르는 것 또한 지나친 감정의 싸움이다.
말장난 같은 논쟁에 의해 채무는 물론 전재산을 잃게 되는 샤일록의 슬픈 운명을 보면서
계약서가 왜 그렇게 복잡하게 될 수 밖에 없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변호사들이 자기 밥벌이를 어떻게 하는지 알게 된다.

영화가 전반적으로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약속의 무게다.
법은 모두가 지켜야 할 약속이다.
특히 상인 공동체로 타국과의 무역을 하는 베니스로서는 법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

채무도 약속이다.
돈을 빌려가며 곧 갚을께 말하고 제대로 못 갚으면 친구를 죽음으로 몰수도 있다.

결혼도 약속이다.
사랑해 절대로 우리 사랑의 증표를 놓치지 않을께라고 말했지만
주변 환경 덕분에 그 반지를 남에게 주고 부인에게 혼이 난다.

이 모든 약속들이 셰익스피어가 보기에는 사실은 불안정한 것이다.
실 없는 사람이 되지 않으려면 되도록 약속을 덜 하도록 하는게 현명하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8-02-09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약속의 무게가 강할수록 위반의 강도도 심해지겠군요.
그런점에서 법은 최소한의 권력만 행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를 아직 못 봤는데 봐야겠다 싶어요.

사마천 2008-02-10 0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주 아주 재미있지는 않더라고요. 알파치노는 열심히 연기하고 베니스의 풍광은 아름답기는 하던데... 그래서 별은 셋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