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마 상무 1
히로카네 켄시 지음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한단계 높이 올라가면 또 다른 세상이 보인다.

상무로 올라서며 중국 사업을 총괄하게 된 시마, 그의 앞에는 예전보다 더 바쁜 삶이 기다린다.
맡고 있는 분야가 넓어지면서 회의도 많아지는데 그 과정에서 그가 결정해야 하는 내용도 바뀐다.
처음 중국에 와서는 중국 파트너와의 제휴관계를 강화하고 협력사들로부터 물건 사는 방식을 바꾸며
직원들 인사에 개입해서 중국인 승진을 강화하고 일본인들의 영향력을 줄이는 쪽에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제 그의 관심은 중국이 아니라 이제 인도로 생산을 옮겨야 하는가라는 생산기지의 위치에
대한 판단을 검토한다. 또 중국이 잘하는 인건비 기반한 조립은 어차피 일본이 따라가기 어렵다 보고
일본은 부품에 치중해서 계속 재주는 곰이 돈은 곡마단 주인이 벌어가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경영진을 설득한다. 분명 한단계 올라간 경영자의 사고다.

더해서 여자가 바뀐다. 야기라는 더티한 인물의 행보에서 나타나지만 여인은 그 사회를 알게 해주는 좋은 매개체가 된다. 시마는 이제 또 한명의 중국여인을 통해 중국과 관련을 맺으며 자신의 면모를 보인다. 나이가 들어도 그 솜씨는 별로 줄지 않는다는 점이 놀랍다.

최근 신문을 수놓았던 기사들에는 중국의 일본기업에 대한 반대 시위가 있었다. 고이즈미의 친미 외교가 상대적으로 한국과 중국을 경시하면서 외교마찰이 발생했는데 이것이 중국에 나가 있던 일본기업에는 타격을 반대로 한국기업에는 득이 되고 있다. 현대차가 과연 도요다보다 잘나가야는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궁금했던 사람들이라면 바로 여기에 큰 시사점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어쨌든 우리의 주인공 시마는 합리주의를 가장한 우익이기 때문에 열심히 자신들의 논리를 강조한다. 이 대목에서는 마치 일본의 우익교과서를 보는 듯 하지만 한국의 시장이 작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그의 전작인 정치구단을 보면 더욱 놀랍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쉽게도 독도를 둘러싼 일본의 전략인 국제재판소 제소 건은 시마의 말대로 끌고 가는 것 자체가 일본에게는 유리한 전략이다. 그러니 조용하게 해결을 미루는 것이 현명한대 너무 쉽게들 생각하는 것도 맞는 일이다. 참고로 독도를 한일협정에서 모호하게 남긴 사람은 김종필과 박정희다. 김대중의 어업협정만 비난하는 경상도 사람들도 많지만 원인을 잘 찾아보면 당시 모호한 처리를 지지하면서 아예 독도 파괴론까지 주장했었다. 당시의 5.16 군부에서.

어쨌든 간에 일본의 최근 전략은 한국 IT기업에 대한 견제론이 강해진 것 같다. 대만에 기술을 이전하고 이들 기업은 다시 노동력과 땅을 중국에서 싸게 구하면서 한국에 역습을 가한다. 반도체에서 나가떨어졌던 대만기업들이 LCD에서 연합을 통해 한국보다 더 큰 규모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런 현실이다. 더해서 부품업에서도 막강한 경쟁자로 부각한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 볼 때 어제의 승리가 내일의 승리를 담보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고 기술,생산성,시장 모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리 오래 가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참고로 하나 재미있게 본 부분은 일본의 가게에서 와인을 시키는데 주변의 와인전문점에서 5분내로 배달해오는 비즈니스 모델이었다. 와인이 대중화하면서 독한 위스키에 취하던 거품경제는 사라져가고 차분하게 맛을 음미하면서 대화하는 형태로 비즈니스 미팅이 바뀌어간다. 이렇게 이해도가 깊어지면서 음식점들은 각자 혼자서 보관하기 어려운 여러 와인들을 주변에서 직접 공급받아 싸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었다. 이 배경에는 와인의 대중화와 대중들의 기호 다양화가 있어야 겠지만 한국에서도 충분히 가능한 것 같다. 역시 부장시절 열심히 와인 팔던 시마의 특기가 여기서도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