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미래 - 인구학이 말하는 10년 후 한국 그리고 생존전략
조영태 지음 / 북스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0년생 63만,2002년생 49만.


갑자기 14만이 줄어든다.

2002년부터 대한민국은 합계출산율 1.3 이하가 되고 초저출산국이 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제 모든 문제가 시작되고 있다.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 들어가라고 하지만 그 때가 되면 이미 대학은 전국적으로는 1대1 수준이 된다고 한다. 서울과 수도권은 경쟁률이 있지만, 지방의 경우는 확실히 미달이다.


대학이 결국 문닫게 되는 건 뻔한 일이다 보니 인구학 전문가 답게 저자는 고민을 하게 된다

우선 대학원생 뽑는데도 매우 신중해진다. 기껏 공부시켜놓고 일자리 없는 예비 실업자 만들 수 없다고 한다.

심지어 아내가 최근 사립대에 임용되자 걱정부터 해두라고 암울한 예언을 해준다. 인구학 강의를 해주었다는데 과연 어떤 답이 돌아왔는지 궁금해진다


대학만이 문제가 아니다.

당연히 초중고 모두 문제가 되는데 선생님이 엄청난 숫자로 과잉이 된다.

요즘 초등교사 될래 아니면 삼성전자 갈래 하면 차라리 초등이요 한다는데 그 길은 과연 안정된 길인가 저자의 말을 듣고 보면 의심스러워진다.


저출산을 통해 더욱 심해지는 고령화는 일본 모습에서 많은 힌트를 얻게 된다.

정치는 극우가 늘어나느나 보수화, 참 이건 요즘 한국의 모 집회에서도 나타난다.

그리고 더욱 심각한 건 경제가 활성화되지 않는 점이다. 일본 주요 기업들이 한국에 뒤쳐지게 된 계기는 사실 고령화 요인이 무척 크다.

시마가 과장에서 부장,이사,회장 되어가는 과정을 따라가보면 의사결정들이 점점 늦어지고 주도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렇게 일본 전자산업은 한국에 길을 넘겨주었다.

그런데 앞으로 한국은 과연 일본의 뒤를 따라가지 않을 자신이 있을까?

 

안정된 고령직장이었던 조선산업의 몰락에 이런 인구구조는 영향이 없었을까? 


섬뜻한 경고는 책 여기저기 이어진다.

그리고 한국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 한국의 성취는 모든 세계의 통계를 벗어나버리는 아웃라이어였다고 한다. 그러기에 한국을 제대로 이해하는 글로벌 전문가를 찾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고로 문제는 스스로 풀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에서 인구학은 매우 예외적 학문이었기에 저자 또한 딱 하나의 인구학 교수 자리라고 한다. 반면 선진국은 인구학 전공자를 기업에서 적극채용한다고 한다. 이 대목에 이르러서는 역시 전공 세일즈인가 했다.

인문학 위기라고 하지만 인문학을 실제 써먹을 수 있는 예를 보여주고 정말 무시하면 돈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경고도 해주는 이코노미 오리엔트 프로페서라고나 불러줘야겠다.


저자의 탁견은 베트남 편에서 아주 잘 드러난다.

베트남을 인구학,사회학적으로 분석한 대목은 꽤 유용했다. 요즘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기업과 금융에서 모두 유행이다. 삼성만 예로 들어도 거의 20만명을 고용하고 있다. 대단하지 않은가?

그렇지만 저자의 베트남 분석은 보다 심층적이다.

그리고 하나 더 저자는 아이들의 사교육 투자에 인색하다. 기껏 말 잘듣는 아이 만들어서 결국 프리타 만들 꺼 있냐고 한다. 그러니 차라리 동남아 특히 뜨는 베트남으로 보내려고 하고 거기서 저자는 자신이 닦은 인맥을 통해 길을 마련해주겠다고 한다

매우 지능적인 전략이고 감탄스러웠다. 


인문사회과학 책도 이렇게 쉽게 읽히면서 깨달음도 주다니 대단하구나 하는 경영으로서도 감탄을 자아낸다.

결론 만족스러운 독서고 강추다.

특히 사교육비 고민하는 가장들에게 이 책 들고 해당 대목 줄그어 아내에게 이해시켜주시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