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인간 - 제15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무라타 사야카 지음, 김석희 옮김 / 살림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의점 1만개 시대라고 한다. 

골목 곳곳에 툭툭 팝콘 처럼 튀어 오르는 편의점들이 그렇게 많아졌다.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 또한 계속 늘고 있다.

들어갈 때마다 만나는 사람, 간혹 점주도 있지만 대부분은 아르바이트(알바)생이다. 그들은 누구일까? 어떤 사람일까? 물어보게 된다.


조건은 존재를 규정한다.

농장이 농부를, 대농장은 농노를, 공장은 노동자를 만들어내듯이 편의점이라는 업태는 알바라는 새로운 직종과 인간유형을 만들어낸다.

사람에게 입혀지는 제복은 그 사람의 행위에 규칙성을 부과하고 일정한 경향성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편의점인간>은 탄생한다.


이 책은 일본 편의점에서 오랫동안 일한 작가가 만들어낸 작품이다. 자신의 아주 오랜 체험이 켭켭이 쌓여 독특한 소감으로 바뀌어진 문장들을 내놓고 또 모아졌다. 

이러한 문장들은 평소 내가 보던 편의점이라는 정형을 상당히 다르게 보도록 흔들어 댄다. 가령 빛으로 가득한 <투명한 수조>라는 공간이 편의점이다. 수조라면 물이 담긴다 그리고 주인공은 그 속에서 일상 보다는 편하게 움직이는 물고기가 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주인공의 경험 또한 규칙의 체화와 반사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편의점 주변을 걸을 때는 항상 어떤 가게가 새로 생겼는지 살피면서 고객인가 경쟁자인가 보게 된다. 

날씨는 매우 중요한 정보다. 온도차이에 따라 제품의 매상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아이스크림 혹은 오뎅 등 상품의 판매에 늘 연결지어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는 서로 섞이게 된다. 말투가 전염되고 업무습관이 모방되어 체화된다. 그렇게 점점 틀이 만들어지고 그 틀에 박혀간다.

그 시간이 무려 16년이나 흘러가게 되어가면서 자연스러움이 너무 익숙해지는데 하나의 해프닝이 발생한다.

아주 아주 이상한 신입점원이 들어오게 된다. 스스로를 부정하는 불만 많은 사회 부적응자, 일본의 고대인 조몬시대와 똑 같다고 불만 가지지만 그렇다고 이 시대의 규칙에 적응하려고 노력도 하지 않는다.

쎄게 한대 맞으면서 조건이 흔들리게 된다. 그리고 생각을 다시 하게 된다.

아주 오래되면서 결혼하지 않은 삶, 그냥 알바라는 일에 머물러 있는 부자연스러움 등 타인이 만들어 놓은 규율이 담긴 시선과 말이 밀려온다.

일시에 혼란에 빠지게 된다. 나는 누구인가? 

가만 보니 자신은 이물질인지도 모른다고 되 묻게 된다. 그리고 또 이물질은 제거 되는 건지 하면서 두려움을 갖게 된다. 


소설의 주인공은 한 명의 극단적으로 예외적인 존재다. 하지만 극단적으로 추상화되었기에 독자에게 더 강한 물음을 던진다.

거대한 프랜차이즈 속의 작은 지점에서 다시 세분화된 하나의 가벼운 일을 아주 오랫동안 반복하는 건 바람직한가?


한 외부인이 주인공에게 쏟아내는 

"알바와 백수가 아이를 낳아서 어떻게 하려고요. 정말 그만두세요. 당신들 같은 유전자는 남기지 말아주세요. 그게 가장 인류를 위하는 길이에요." 

그 썩은 유전자는 죽을 때까지 혼자 품고 있다가, 죽을 때 천국으로 가져가서 이 세상에는 한 조각도 남기지 말아주세요. 정말로"

178쪽

거친 말투는 충격적인 파도로 밀려온다.


사회에 분명 가치를 주고 필요도 하면서도 꼭 이렇게 까지 대접받아야 하나 하는 물음이 튀어나온다. 하지만 이거야 말로 더 냉정한 현실인지 모른다.

그렇게 여기서 너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점점 커져간다.


사회를 보면 구성원들은 그냥 봐도 한 점이다. 하지만 점인 듯 하면서도 선이 있고 면이 있다.알바가 아닌 비정규직,프리터 그리고 정규직은 이 연결에서 큰 차이가 있다.

정규직은 빽빽한 선으로 묶여서 면을 이룬다. 뭔가 다른 행동을 하면 사방에서 자신을 잡고 있는 줄들이 댕겨지면서 중심도 잡아주고 위로 이끌어도 준다. 

납품업체와 같은 하위 구성요소들은 이 끈이 더 느슨하고 비정규직은 아주 약하디 약하게만 작용한다.

편의점인간은 그냥 점에 가까울 뿐이다.


그래서 느슨하게 머물다가 보낸 시간들의 기회의 상실이라는 복수로 변모해서 자신을 덥쳐온다. 가족도 점장도 다 흔들어댄다.


결국 관건은 연결이다. 약한 연결과 강한 연결은 차이가 나고 수조라는 물 밖으로 나가는 것이 두렵다고 하면 약한 선에 묶인 점에만 머물게 된다.

바람직한 것인가? 답은 주관적 가치에 따라 차이는 있게 마련이다. 그럼에도 무언가 변화는 필요하다. 

16년이 지나도 알바는 알바이고, 이렇게 머무는 쳇바퀴 처럼 돌아가는 공간은 일종의 루프로서 시간이 멈추어진 셈, 즉 성장, 발전이 멈춰버린 셈이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종종 거칠고 힘들지만 더 강한 질문이 필요하다. 

너는 누구인가? 그곳으로 다 충분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