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나를 불렀다 - 인도의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
로버트 카니겔 지음, 김인수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마누잔,

인도의 천재수학자로 영국 트리니티 대학과 아케데미의 인정을 받음.


예전에 인도,파키스탄인들과 미국에서 잠시 일을 할 때 

그들은 라마누잔에 대해서 자랑스러워했다.

그리고 인도인들은 열심히들 일하더니 이제는 실리콘밸리의 탑 경영자, MS를 회생시킨 나델라, 구글의 핵심임원 등을 차지해나간다. 


인도는 여행지로는 지극히 위험하고 불결하고 심지어 먹는 물 조금 잘못 손대면 설사로 드러눕게 되는 장소다. 


불결과 저개발에 천재의 대조.

인도의 불가사의다.


라마누잔은 최근 <무한대를 본 남자>라는 영화를 통해 삶이 부활했다.

학자는 영웅이 아니라, 전쟁터 대신 연구실이 나오고, 갈등 또한 교수들과 한다.

당시가 1차대전이 한창이었기에 실제 전쟁은 옆으로 지나간다. 그래서 러셀이 잠시 만났다가 반전 운동 하고 교수직에서 쫓겨나간다. 애국주의적 자존감 쎈 영국제국에서 러셀은 대단한 이단아이자 자유인이었다. 그가 처음 수학을 잘 해 업적을 남긴 걸 배경으로 이해해주어야 한다.


라마누잔의 특이점은

매우 종교적이었고 심지어 그의 통찰이 잠들 때 신이 머리에 남겨주었다고 한다.

라마누잔의 갈등은 주로 아주 신기한 직관을 내 놓아 사람들읠 탄복하게 하지만 수학이라는 학문의 전통은 왜 거기까지 도달했는지 과정을 보이라는 것이다. 이게 증명이다.

요즘 수학 공부들은 공식과 활용에 맞춰저 있지만 사실 그 공식을 만들어가는 훈련은 대단히 소중하다.

그런데 직관이 우선이냐, 증명이 우선이냐 물으면 이건 쉽지 않은 논쟁거리다.

우리 삶을 보자, 가령 돈이 돈 번다라는 명제는 많은 사람들이 체득했다. 이를 증명하라고 하면 보통 주변에서 본 예를 들 것이다. 그런데 피케티라는 경제학자는 프랑스 국세청 200년 데이터를 가지고 이를 논증해내서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다시 정리해보면 직관은 매우 소중한 역량이다. 그렇지만 보편화시키는 것, 명료화시키는 일은 과학의 몫이다. 그걸 하지 않으면 견고성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라마누잔의 작품들은 어림함수(딱 떨어지지는 않지만 매우 근접한 값을 제공하는)를 만들어낸다. 컴퓨터가 도입되기 전에 이런 어림함수는 현실적 유용성이 컸다. 전쟁터 날라가는 포탄의 타도 계산하라고 수학자에게 요구되는 시대니 말이다. 


그리고 어림함수는 직관의 산물이지만 증명으로 해나가려면 아주 빠개지는 일이다. 기하학과는 다른 세계인 셈이다.

어쨌든 갖은 차별을 피해 인도인으로서 영국에서 당당히 존재감을 만들어내게 되니 피식민지 인도인들은 자신의 전통을 재발견하고 자부심을 얻게 된다.

마치 학문세계의 간디 같은 성취를 해낸 셈이다.


그런데 현대로 와서 라마누잔은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외계인과 UFO,고대세계를 다룬 다큐에는 꼭 인도 고전 <라마야나>의 한 장면이 언급된다. 바로 두 세력간의 공중전인데 이게 현대인의 관점에서 보면 핵전쟁을 보여준다고 한다. 

그러면서 라마누잔과 그가 모신 신의 관계 또한 보이지 않는 정신적 끈이 있었다고 추론된다. 밎거나 말거나의 세계이지만, 

라마누잔은 바닥으로 익힌 것이 아니라 직관으로 풀어냈고 그가 보여준 공식 중에는 지금도 우주개발에 쓰이는 것이 있다.


라마누잔의 삶을 되돌아보고 다시 정리해자


왜 이 고된 일을 하느냐는 물음에, 그는 신의 사명이라고 했다.


영국에게 갖은 착취를 당하고 깨어나지 못하는 인도인들이지만 그 깊은 뿌리에 인간의 상상을 뛰어넘는 초월적 후원자가 있다는 깨달음.


그걸 인도인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서였을까? 브라만이라는 신분이라 바다를 넘는 것조차 금지되던 그가 가족 버리고 긴 모험을 감내한 진정한 의도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