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미국 뉴욕에서 비행기 한대가 강물에 착륙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무사히 155명의 승객이 구조된 이 사건은 미국의 자랑거리가 되고 기장 셜리는 영웅이 된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이 사건을 영화로 만들고 주연은 톰 행크스가 맡게 되었다.

톰 행크스의 대표작 <포레스트 검프>, <아폴로 13> 등에서 작지만 미국적인 영웅 역할을 해왔다. 바보지만 달려가면 사업가로 성장하는 포레스트, 위기에 빠진 우주선을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킨 기장 등이 그의 역할이었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원래 서부영화의 건맨이었다. 무법시대를 총으로 개척하는 작은 영웅이었다. 그러다가 현대극으로 넘어오면서 영웅의 재해석에 주력했다. 그의 마지막 서부극은 아마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이지 않았을까 한다. 


그럼 영화로 들어가보자.

이 영화의 소재가 되는 비행은 실제로는 208초로 매우 짧았다고 한다. 

잠깐 사이 지나가 그 짧은 순간에 비행기가 떠서 사고를 만나고 다시 강물에 내려 앉았는데 이를 1시간 반 긴 영화로 만드는 작업이니 흥미를 가지고 보게 된다.


대체로 스토리 자체는 밋밋하게 느껴질 정도다. 

비행은 짧았지만 뒤의 이야기는 과연 강물로의 하강이 최선이었는지에 대한 조사였다. 

돈이 드니 당연히 조사가 길어질 수 밖에 없고 어제의 영웅이 오늘은 모험가로 추락할 수 있는 위기의 순간이었다.

영화는 이렇게 난감해진 기장 셜리의 마음을 다루고 된다.


스토리를 더 풀면 스포일이 되고, 

영화의 의의를 좀 더 살펴보자.


영화의 소재였던 비행기의 착륙에서 기장은 최후에 비행기를 벗어나며 단 한명이라도 승객이 남아 있는지 살피는 최후의 방어자였다. 

여기서 한국에서는 세월호에서는 하는 안타까움이 치솟아올랐다. 하지만 그 이야기는 놔두고.

미국이라는 나라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럼에도 가끔은 이 사회가 봐줄만하다 할만큼 작은 영웅들이 나타난다. 

맡은 자리에서 자기 일을 충실히 함으로 모두의 행복을 키우는 그런 존재들, 작아 보여도 그들의 가슴에 있는 굳은 신념이 그 사회의 신뢰도를 높인다. 커다란 건물의 기둥들을 버텨내는 바탕의 기반돌들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매우 보수적인 인물이다. 건맨 출신 답게 총기소유를 강력히 지지한다. 그리고 미국적 가치에 대해 영화를 꾸준히 만들어낸다. 지난번에 만든 이라크 전의 저격수를 다룬 <어메리칸 스나이퍼> 등이 그렇다. 지나친 미국스러움이 거부스럽게 느껴지면서도 그의 영화는 무언가 생각할 주제는 던진다.

한국의 보수는 과연 무엇을 만들어낼까?

<인천상륙작전>의 전쟁영웅? 그것 말고 무언 없을런지.. 

아직도 세월호 넘어서를 못 찾아가는 이 시점에서 숙제를 안게 만들어주는 영화감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