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둑으로 읽는 인공지능 - 감동근 교수 딥블루, 왓슨, 알파고를 말하다
감동근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인공지능과 바둑고수의 만남, 그리고 바둑고수의 패배.
2016년 한국의 최고 충격은 그렇게 진행되었다.
이 현상을 인공지능과 바둑 양 측면의 접근을 통해 이해하도록 도와준 전문가가 있다.
양면의 대결 혹은 융합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중계자인 그는 바둑애호가인 컴퓨터 전문가 김동근 아주대 교수다.
김교수는 한때 IBM에서 왓슨 개발팀에 있었다.
체스와 퀴즈쇼에서 왓슨이 보여준 탁월한 성취도 당시 인간들에게 충격이었다. 그 원리에 대해서 꽤 상세히 해설해준다.
그리고 이어지는 바둑의 해설은 이정우 프로 9단이 설명해준다.
다른 해설과 얼마간의 차이가 있었고 재미있었다.
결과는 다들 알기에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책에서 가장 중요했던 건 체스 패배 이후의 경험이었다
자 이제 바둑의 신비감이 깨진 다음에 어떻게 될 것인가하는 질문에 대한 좋은 참고사례인 셈이다.
먼저 인간고수는 상대화된다고 한다. 이제는 슈퍼컴이 아니라 인텔 CPU 2개 만으로도 인간이 이길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인간들 사이의 랭킹은 컴 아래 있는 상대적인 존재가되었다. 부처님 손바닥의 손오공 처럼, 컴을 제외한 인간들의 놀이는 고만고만해진다. 또 하나 사람들에게 나온 변화는 인간의 수를 경이로 보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수준을 판정을 해준다고 한다. 심판 내지 해설자의 옆자리에서 보는 전지적 관점을 선물 받게 된 셈이다. 대중들이..
그 덕분인지 체스에 대한 관심은 오히려 늘었고 더욱 중요한 건 사용자가 늘었으며 지역적 차별도 많이 줄었다고 한다.
동양의 고유한 신비한 게임이라는 이미지는 소수의 서양 매니아들에게 많은 대접을 받았다. 영화 뷰티풀마인드에서도 주인공이 바둑 두는 장면이 나온다. 그들은 바둑을 프로도 아니고 하나의 고도의 지적 게임으로 존중했었다. 실제 나의 선배 한분도 미국 유명 대학 교수가 자신의 학과에 어플라이한 한국인이 바둑을 잘 둔다고 하니 특별대우를 한 케이스를 이야기했었다.
그런데 이제 그런 고수는 굳이 모셔올 필요가 줄게 되었다.
ASK ALPHAGO가 나올 예정이니 말이다.
그렇지만 이 과정에서 우리는 게임을 좀 더 복기를 해볼 필요가 있다,
복기의 순간이야말로 패배자에게 성찰의 시간이 되고 아픔을 딛고 한걸음 나아가도록 하는 중요한 동기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알파고는 거대기업의 작품이다. 그래서 법적 계약 조건을 통해 요구된 사항들은 치밀하게 자신이 유리한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대국규칙,특히 시간 조건이 그렇다. 반면에 한국인들은 계약에 무지하였다. 한국기원이라는 조직이 있지만 얼마나 조직적으로 이 특이한 도전자에 대해 이세돌을 지원했는지는 의문이다.
반대로 한국이 거저 퍼준 것이 있다. 바로 기보다. 머신러닝이 제대로 돌아가려면 데이터가 필요한데 한국의 온라인게임 업체들이 쌓아놓은 기보가 이들에게는 훌륭한 자료가 되었다. 그것도 공짜로 말이다. 대국얼마전부터 유럽에서 가입한 모 사용자가 기보를 엄청나게 빨아들였다는 후일담이 있었다. 이기려면 바로 그 대목을 막을 수 있었어야 한다.
인간의 매력은 비극에 있다고 한다. 소멸할 줄 알면서도 돌진해가는 자기극복의 힘, 이게 바로 영웅의 아름다움이다.
또 하나 인간은 성찰할 줄 아는 존재다. 자신의 패배를 찬찬히 복기하면서 인간은 한발 나아갈 수 있다.
이제 패배는 직시하고 다음 회전을 준비할 때다.
구글의 화려한 머신러닝 기술이 왜 오픈API로 공개될까? 그들이 원하는 건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타이젬의 바둑 기보가 필요하고 한국기사들이 수십년간 쌓아놓은 지적 성취라는 자산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앞날의 게임도 엇비슷한 패턴이 될 수 있다. 내가 없는 것을 만든 이를 존중하고 나의 강점을 결합해서 더 큰 것을 만들어내자고 제안해내는 힘, 그것이 우리가 선택할 전략이 아닐까 한다.
아마 다음 전장은 의료가 될 것 같다. 높은 스마트폰 보급율, 매우 싸고 잘 설계된 건강보험 시스템 한국은 충분히 기회의 땅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