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으로 세상을 바꾼 구글 스토리
존 바텔 지음, 신윤조.이진원 옮김, 전병국 감수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끝은 매우 창대하리라.

구글의 시작은 논문 쓰기에 지쳐버린 스탠포드 대학원생의 새로운 실험이었다. 검색과 관련된 작은 물음에서 출발해 주변의 호응과 격려를 얻으며 점차 확대된 이 서비스는 마침내 전세계를 뒤흔들게 되었다.
아이디어를 들고 당시 이미 거대하게 성장된 야후와 같은 여러 기업을 다녔지만 대부분 차가운 반응이었고 심지어 꺼지라는 소리도 들었다고 한다. 참고로 한국 인터넷의 돌풍을 일으킨 싸이월드도 대부분의 포털에 인수제의를 했지만 거절 당해서 꽤 헐값에 SK로 인수된 것이다. 하지만 우연찮게 만난 벤처투자가의 지원으로 본격적 출발은 시작되었고 점차 다양한 인재가 참여하면서 기업화되었다.

구글과 함께 중점적으로 소개되는 것은 오버추어라고 광고 키워드 판매 솔루션 회사다. 아이디어가 솔루션이 되고 기업이 되었다가 이제 다른 형태로 변모되어 존속하는 모습은 인터넷 업계에서 흔한일이다. 참고로 NHN 등은 구글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서인지 오버추어 쪽으로 거래하고 있다. 어쨌든 구글이 추구한 것은 수준 높은 검색이었다. 점점 인터넷에 올라오는 자료의 양이 많아지다보면 제대로 된 검색이 필요할 것이라는 간명한 논리에 따라 그들은 계속 자신들의 역량을 집중했다.

모으고, 정리하고, 보여주는 세 가지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검색엔진의 구조에서 그들은 많은 정크 사이트를 피해가면서 자신들의 서비스 질을 높여나갔고 이것이 점차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갔다. 여기서 한국 검색엔진의 대표주자인 NHN과 비교하자면 NHN이 하나의 키워드로 찾고자 하는 다양한 많은 요소를 보여주는 넓이가 있는 검색으로 인기를 얻었다면 구글의 경우는 정확한 정보를 찾으려고 노력해서 깊이를 찾는다고 하겠다. 넓이를 만들어가는 과정의 상당수는 수작업이 들어가 편의성은 높지만 생산성은 생각보다 높지 않다고 한다. 반면 구글은 철저하게 자동화를 추구하고 이를 뒷받힘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투자를 많이 한다. 얼마전 소개된 임백준의 소프트웨어 산책이라는 책에 소설 형식으로 등장하는 에피소드를 보면 엄청난 고 난이도의 수학문제가 등장하는데 이게 바로 구글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뽑기 위한 시험문제였다고 한다. 이런 차이점은 NHN도 의식하고 있는데 구글이 컴퓨터 전공 박사나 MS 엔지니어를 다수 끌어들이고 있지만 현재의 NHN에는 그런 몰림이 없다는 것이다.

덕분에 이 분야에서 구글의 한국 진출 가능성이 꾸준하게 논의되는 것은 한편으로는 위협이다. 직접 서비스 한다, 엠파스를 산다, 아니면 다음과 제휴할 것이다 등등 수많은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고 그 때 마다 주식 가격은 출렁인다. 하지만 이베이에 팔린 옥션은 한국기업인가 돌아보자. 다른 경매사이트 거의 대부분을 죽인 독점기업으로 막대한 수수료를 부과해서 판매자들의 원성을 받던 이베이의 질주는 별로 반갑지 않았다. 덕분에 인터파크의 자회사 G마켓이 보여준 독자적 비즈니스 모델에 의한 추격에 성원을 보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구글이 한국시장을 점거해버린다면 그것 또한 그리 반갑지는 못 할 것 같다. MS에 팔려서 사라져버릴 뻔한 한컴의 운명을 다시 보는 듯 할까?

검색은 이제 서서히 권력화하고 있다. 구글과 NHN이 생활의 일부가 되어가면서 그 곳에 한자리 하는 것이 적지 않은 이문이 된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대선을 앞두고 포털에 접근해 자신에게 좀 더 유리한 자리를 마련해달라고 하는 로비가 발견되는게 현실이다. 수십명씩 기자와 편집인을 둔 이 포털 언론의 성장덕분에 기존 언론권력은 빠르게 관심에서 밀려나고 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인터넷 세계에서 정말 확실한 것은 별로 없는 것 같다. 다 끝난 것 같은 포털 싸움에서 구글이 탄생하고 옥션을 G마켓이 따라잡는 것이나, 싸이월드가 프리챌 등 여타 서비스를 제쳐 버리는 것처럼 아직 많은 가능성이 앞에 열려있다. 꿈을 갖고 도전한다면 길은 열릴지 모른다.

한국의 기존 체제가 제시한 꿈은 시험이다. 책을 열심히 파고 문제를 예상해서 답을 잘 써내면 자격이 부여된다. 미국의 체제가 제시하는 꿈은 벤처다. 작은 공간에서 노력한다는 점은 비슷하겠지만 한국이 개인의 영달에 주목하는 점에 비하면 미국은 사회적 가치 창출과 개인의 부 두가지가 함께 추구된다. 대치동 학원가나 신림동 고시촌에서 책을 열심히 파고 든다고 과연 진정 전세계에 의미를 줄 수 있는 가치가 나올 수 있을까? 구글과 야후 둘 다 실리콘 밸리의 스탠포드 대학에서 만들어졌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늦더라도 생각하는 법을 가르치는 교육, 천재의 가치를 알고 존중하며 키우는 교육을 중시하는 미국 사회에 비교할 수 있을까? 부러워하고 질시하기 전에 우리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