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전쟁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에는 길이 없다" 작가 김훈의 말이다.

힘은 문사들에게 있지 않고 법의 칼을 들이대는 검사, 총칼로 위협하는 군인과 이들을 움직일 수 있는 권력자들에게 있는 게 현실이라는 인식이다.

글자전쟁에서 저자 김진명은 여기에 반박을 한다.

글자 하나를 지켜내는 건 소중한 일이다. 전쟁을 해서라도 꼭 지켜야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문사로서 소설에 등장하게 되는 중국의 사마천과 공자는 현실에서는 철저한 패자였다. 사마천은사형수에서 스스로 내시가 되었고, 공자는 상갓집 개로 세상을 떠돈 우울함 자체였다.

이들의 글자를 무기로 모아 책을 내었다. 결국 사마천의 사기, 공자의 논어는 동양의 정신세계의 주춧돌이 된다.

 

김진명이 잡은 책의 제목 <글자 전쟁>은 글자를 지키기 위해 벌인 선조들의 노력을 특별히 부각시킨다.

 

소설에는 작가 자신이 나온다. 전준우, 팩트서처라고 성격도 설정해준다. 팩트를 찾아나서는 그의행보는 픽션이라는 비판을 염두에 둔 듯하다. 그런데 곧 북경 북한식당에 얼굴 비치다가 픽 쓰러져버린다. 그리고 슈퍼 탈펜트를 가진 주인공을 등장시켜 작가가 설정한 과업을 풀어가게 만든다. 바로 그 인물 이태민은 영재이고 복합능력을 가지고 있다. 물리학을 기초학문으로 하고 국제정치를 전공한 무기상이다. 판매라는 건 길가의 좌판에도 고유의 원리가 있지만 이왕 팔거면 큰 걸 팔아야 한다.

이태민은 배운바를 다 잘 써먹어서 고위 군인들을 술집에서 먹이면서도 물리학 원리로 납득을 시키면서 국제정치의 최근 데이터를 종합해서 왜 그 무기가 당신의 환경에 필요한지 방위전략까지 짜준다.

위아래 여러 레벨을 오가고 고객의 문제를 단숨에 해결해내는 복합 역량을 가지고 있다.

 

군납과 무기가 왜 중요한지?

한국의 재벌들 현대,한진은 6.25전쟁에서 대표적 군납업자였다.

분쟁이야 말로 재벌에게는 천재일우의 기회다.

 

그런 점에서 한반도와 동북아는 아주 좋은 텃밭이다.

평화를 향해 가는 길은 멀고, 무기상의 할 일은 많다.

 

현대에서는 분쟁지역의 무기를 파는 죽음의 상인이지만, 작중에서는 또 하나의 미션을 잘 수행한다.

바로 고대에 벌어지는 글자전쟁이다.

이 두 세계가 번갈아 드러나면서 서로를 더 잘 드러내보여준다.

 

글자는 왜 전쟁거리가 될까?

글자에는 관념을 지배하는 힘이 있다.

그런데 이런 글자를 만드는 힘은 중국만 가지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는 게 책의 핵심이다.

 

그럼 왜 이런 힘이 중요할까?

답은 다시 현대로 와야 한다.

지금 한반도는 죽음의 굿판이 벌어지고 있다. 남과 북의 관계는 핵실험과 개성공단 폐쇄로 끊어지고 말았다. 상대를 죽여야 내가 산다는 밀어 붙이기는 과거 YS시절 핵파동과 엇비슷해졌다.

무기상들에게는 호재다. 작품 속의 이태민이 아니라 많은 무기상들이 날라다닐 것이다.

이 상황은 꼭 올바른 것일까?

불황이 너무 심해 구조조정한다고 10조 넘게 화폐 찍어내는 막장 경제가 되었다. 그런데도 개성공단에서 눈물 머금고 철수한 중소기업에는 대출만 해주고 너 벌어 놓은 것으로 먹고 살라고 한다. 과연 합리적일까?

다 지도자의 시야가 좁기 때문이다.

책에는 이 점에서도 한 칼을 날린다. 시작에서 김정은에게 한탄하는 북 군인도 나오고, 남과 북이 친해지려면 방해하는 일본 신문 이야기도 나온다.


이런 게 다 

남이 만들어놓은 판 안에 갇혀서는 안된다는 게 저자의 일관된 주장이다. 이 책뿐 아니라 여러 저작에서 저자는 일관되게 자부심을 가지고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라고 소리 높인다.

그래서 자신의 분신인 작가를 순교자로 승화시켰고, 감히 중국의 맞상대로 사마천과 공자를 놓았다. 대단한 배짱이지만 가볍게만 볼 수는 없다.

 

김훈은 책에는 길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작가 김진명은 책에서 길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누구도 쉽게 가기 어려웠던 길, 그 길을 만들어서 우리식대로 살아보자는 격동이 담긴 메시지를 문자로 가득 채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