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부대 - 2015년 제3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자답다 혹은 기자스럽다.

조연도 기자다.

기자의 강점인 속보성,현장성이 고대로 소설이라는 형식으로 녹아 있다.


기술은 처음에는 진보적이지만 점점 보수화된다.

SNS는 선거혁명으로 이어지고 박원순 당선에 큰 기여를 했다. 하지만 대선은 어떠했나?

달라졌다. 그런데 왜일까?

국정원 수사, 양심선언으로 이어지고 아직도 대선불복 프레임으로 남아 긴 충격파를 주는 사건들이 선거직전 벌어졌다.

자 그럼 이 대목에서 기자라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처음에는 사실을 담고 감정을 배제한 스트레이트 기사를 쓸 것이다.

그런데 그것으로 충분할까?

도대체 어떤 인간이고 어떤 의도일까? 이들의 심리는 무엇이고.. 등 심층 분석이 이어질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들은 처음에는 미약했으나 나중에는 큰파장을 일으킨다.

돈과 의도가 오가고 서서히 성장해가는 모습을 소설은 잘 그려낸다.

뒷골목 삐리한 젊은이들이 성장하는 척도는 성의 소비로 드러난다.

작가의 서술은 교묘하고 정확하게 기술은 가졌지만 철학 없는 존재들이 점점 더 강하게 도구화되는 과정을 그려낸다.

그리고 그 깊은 속에 존재한 시커먼 심연의 모습을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며 독자에게 보여준다.


기술을 처음 손대는 사람들은 해커기질이 있다.

빌게이츠,잡스 이전에 워즈니악 같은 인물은 무료배포를 하려고 했다.

좀 지나면 돈을 벌려는 잡스와 게이츠가 악착같이 이를 자산화시키고 독점화를 시도한다. 경쟁자를 쓰러뜨리려고 악착같이 기술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다.

한국에서 SNS도 비슷한 경로를 밟았다. 

그리고 처음에는 혁명의 도구인 줄 알았지만 더 크고 강한 힘을 위해 봉사하고 있는 기술을 보게 된다.

아마 빅데이터와 로봇도 점차 그런 경로를 밟아갈 것이다.

그럴수록 인간이란 사회란 이런 주제에 대한 고민을 담은 이야기가 그립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