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과 제왕 1 - 대륙의 별, 장군 고선지
이덕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장군과 제왕이라는 타이틀로 고선지와 이정기라는 고구려계 유민인 두 인물을 다루었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당나라 현종을 전후한 정치사가 중심이 된다.

이덕일의 기존 저작들이 가진 장점이 교과서나 일반 역사서에 없는 시선의 세세함과
인물들을 살아 있는 듯 보여주는 심리묘사의 탁월함이라고 보는데 비해서 이 책은 거리가 있다.

원인으로는 우선 사료가 제한되었다는 점을 거론해야 한다.  서술의 기초는 주로 당의 역사를 공식적으로 다룬 신,구당서 및 자치통감을 비롯한 고전 사서에 많이 의존하는 것에 그친다. 일본에서 중국의 역사를 서술하는 책을 보면 경제,사회 등 여러 분야를 놓고 연구한 저작들이 기초가 되어 그 위에서 종합 역사서가 나오게 된다. 역시 토대가 튼튼해야 높은 건축물이 올라갈 수 있는 것처럼 읽기 쉬운 개론서는 수많은 논문이 바탕에 깔릴 수 밖에 없다. 장르가 약간 다르지만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가 재미 있을 수 있는 것 또한 그러한 결과다. 반면 아직 한국에서는 그렇게 되기에는  전공자의 수도 작아서 연구물도 축적된 것이 별로 없다. 덕분에 이 책의 서술은 당 현종의 궁중 정치를 둘러싼 여러가지 모습들을 보여주는 것에 그친다.
그런 내용에 맞추어 제목을 달려고 한다면 안록산의 난 전후 정치사와 이 과정에 보여준 고구려계 유민의 활약상이라고 하는 것이 나으리라 보인다.

처음부터 고선지를 주인공으로 내세운다면 수년전에 고선지를 주인공으로 삼은 <유럽문명의 아버지 고선지 평전>이라는 책이 아마 더 건질 내용이 많을 것이다.

이덕일의 기존 저서들 상당수가 독자들에게 큰 매력을 주었는데 비해서 이 책은 무언가 의도와 결과가 맞지 않는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반발이라는 시류에 맞추어 빠른 속도로 만들어지다 보니 완성도가 떨어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럼에도 저자가 그동안 역사를 대중에게 편하고 유익하게 소화시켜 주었던 많은 노력을 보면서 한결 더 나은 작품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기대해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