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암자전 - 삼성 창업자 호암 이병철 자서전
이병철 지음 / 나남출판 / 2014년 4월
평점 :
2015년 겨울은 기업인들에게 보다 춥게 느껴진다.
삼성그룹의 사장단과 임원 인사가 발표 되었는데 그 내용이 충격적이었다.
임원의 대폭감축 및 연이은 사업구조조정이 이어졌다.
새로운 리더 JY의 철학이 점점 자기 색을 드러내고 있다.
효율이 강조되고, 숫자로 평가되기를 원하고 제일 잘 하는 것을 해라는 등.
언뜻 떠오르는 이미지는 미국의 GE였다. 예전에 식스시그마를 강조했었는데 그것도 미국의 모토롤라였다.
이 대목에서 나는 예전의 호암이라면 어떠했을까라는 생각을 떠올려보았다.
다음은 삼성경제연구소장이었던 최우석의 인터뷰글 중 일부다.
밥 때 그냥 가는 거 아이다. 밥 묵고 가라’며 직원들을 붙잡았습니다
이 회장에게는 사람을 감동시키는 그 무엇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없으면 사람을 잘 다룰 수가 없죠. 엄했지만 섬세한 사람이 이병철이었습니다. 인간적 매력이 없으면 주위에 사람이 모이지 않습니다. 이 회장은 이런 차원에서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었습니다
조직의 리더에게 가장 소중한 직무는 밥을 먹이는 것이다.
리더십을 간략하게 말해서 밥주는 손에 대한 믿음이라고 표현한 사장도 주변에 있다.
나이가 들수록 미국 MBA들에게 회의적이 되어간다. 우선 그들이 금융위기를 만든 주범이라는 점, 또 자본가들만을 위한 재무적 기법의 달인이 아니냐는 의문이 든다.
한국에서 꼭 미국을 절대절명으로 배워햐할까? 특히 경영에 대해서 그럴까 한다.
지난 몇년간 한국경영이 주춤한 사이, 일본은 급속히 부상하고 있다.
말많던 아베노믹스는 최소한 주가로는 충분히 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손정의와 같은 신경영자들이 부상한다.
그가 한국계이지 한국인이 아니라는 점은 아쉽기만 하다.
다시 이 대목에서 호암 최후의 승부였던 반도체를 돌아보자.
<신수종(新樹種) 사업이 어떤 것이건 간에, 그분은 모든 것을 쏟아부었을 겁니다. 예전에 반도체 사업이 무척 어려웠던 적이 있었습니다. 삼성 가전 부문은 돈을 벌었는데, 반도체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 회장은 반도체에 돈을 다 쏟아 붓더군요. ‘아, 이 영감님이 자기가 만든 삼성을 이렇게 망치고 가는구나’ 싶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그때 삼성의 결단이 아니었다면, 오늘날 우리의 IT산업은 없었을 겁니다. 이 회장의 풀베팅(full betting)이 없었다면 이런 일이 가능했겠습니까? 만약 이병철 회장이 살아 있다면, 철저한 분석, 사전조사를 통해 그룹의 신수종 사업을 찾아냈을 겁니다. 그리고 개발연대의 거인답게 반드시 이를 성공시켰을 겁니다>
왜 기업가는 승부를 걸어야 하는가?
한국의 기업은 국가와 공동체원들에거서 무한한 혜택을 입었고 최소한 성공을 통해 보답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노골적으로 말하면 삼성의 1차 도약은 6.25 와중에 만들어진 전시경기에서의 밀무역이 매우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호암은 그렇게 번 돈을 쓰는 방법이 달랐다.
그는 국가에 대한 무한한 애정이 있었습니다. 사업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부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라고 믿었던 분입니다. ‘사업보국’이라는 얘기는 괜히 나온 말이 아닙니다.
주변에 점점 헬조선이라는 표현이 늘어난다.
작년,재작년만 하더라도 롯동금이라는 표현을 처음 들었다. 롯데,동부,금호 등 임금은 작고 일이 많다는 것이 그 신문기사의 표현이다. (해당기업 다니는 분들께는 죄송, 신문기사 인용임)
나라가 전체적으로 꿈이 작아지는 건 분명해지는 사실이다.
그와 중에 그나마 남은 꿈 중의 하나는 삼성입사다. 그렇지만 그렇게 이룬 꿈들이 기껏 40대에 밀려나는 모습으로 만들어진다면 정말 꿈은 어디까지 남을까?
사업은 숫자로 보이는 돈을 버는 일이 아니라
사람과 꿈, 인정과 국가에 대한 의무가 어우러지는 예술이다.
우리가 다시 호암 같은 승부사를 만날 수 있다면 참 행복하겠다는 생각이 다시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