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전쟁의 나라 - 7백 년의 동업과 경쟁
서영교 지음 / 글항아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구려를 소상히 이해시켜주는 수작이다.

국가운영과 전쟁 측면에서 새로운 접근을 해서 이해하고 이를 통해 700년 역사를 살펴본다.

고주몽과 함께 나라만든이들은 수렵민이었고 주변의 유목,농경민들을 복속시켜 거대한 공동체를 만들었다.

특히 유목민들과의 관계가 중요했다.

유목민인 선비는 이웃하고 있어 때로는 동업자로 중국을 공동침공했고 반대로 선비가 복속되었을 때는 중국의 지휘를 받은 이들의 공략에 시달려야 했다.

선비가 점점 커져 거대한 국가를 이루었을 때는 고구려에게도 위기였다.

함경도,간도까지 쫓겨갔던 동천왕, 행차 중 습격 당해 포로가 될 뻔했던 봉상왕 등 위기 이야기는 많다.

하지만 고구려도 만만치 않은 나라였다.

주변민족들의 속성을 이해하고 유목민과는 공생공존을 추구하여 이들이 필요한 식량과 자원을 주고 전쟁에서는 도움을 받았다.

저자의 통찰은 고구려가 하나의 정체나 이념을 강요한 것이 아니라 민족별로 고유한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다가 강점을 고대로 활용시킨 제국의 마인드를 가졌다고 분석해냈다.

무려 700년을 만주와 한반도 북반의 거대한 땅을 영위할 수 있었던 힘은 바로 국가경영 원리에 있다고 본 것이다.

고구려의 외교술에 대해서도 칭찬을 많이 한다.

고구려가 힘들게 수당 전쟁을 하는 과정에서도 사절들은 북방을 달렸다.

안시성이 함락 직전 까지 몰렸을 때 설연타라는 부족을 자극하여 당을 공격하게 만들어서 당태종을 회군시켰다.

방효태의 13군을 몰살시킨 것도 돌궐의 습격 덕분이다.


저자의 회고를 보면 엄청난 전쟁사 매니아로 보인다.

각종 자료 동영상 등 저자가 참조한 내용도 많다.

그러다 보니 구체적인 전쟁기술에 대해서 남과 다르게 서술해낼 수 있었다.

고대 전쟁을 단순하게 창으로 찌르고 활쏘고 말달리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조직과 무기가 단순해지면 전략도 단순해진다.

반면 문명은 적의 강점을 역으로 활용하는 지략을 발휘할 수 있다.

말을 막기 위한 장창대 등의 전술이 그렇게 나왔다.


당은 복합국가였다.

수에서 시작한 국가는 유목제국과 혼합된 성격을 가졌고 덕분에 오히려 개방성을 가졌다.

그래서 이들은 농경과 유목 모두를 잘 다루어 효과를 극대화시키려고 했다.

이런 성격을 가진 유사한 존재가 동쪽의 고구려였고 그런 점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간주하게 된다.

신라를 남기면서도 고구려는 필히 없애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하지만 이 때 고구려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귀족들의 파벌,노쇠화가 이루어져 연개소문의 독재를 통해 잠시 힘이 모이지만 결국 무너지고 만다.


역사는 글을 넘어 박물관에서 실물을 보고 현지를 오가며 지리적 공간을 느끼고 더 해서 저자와 같이 깊은 역사적 탐구가 담긴 책을 읽어가며 한걸음 한걸음 꺠우침이 커지게 된다.

그냥 홀로 보거나 사극에만 머물러서는 제대로 된 역사이해는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