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성쇠 - 무엇이 기업의 운명을 결정하는가?
사카이야 다이치 지음, 김순호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조직도 유기체라 성공과 쇠락을 모두 겪게 된다.
올라가는 성공의 모습만 있으면 좋겠지만 대부분의 조직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쇠락 또한 겪게 된다. 견고하게 보이던 대 제국도 무너지고
기업도 도산하며 허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한 둘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런 조직의 성쇠에 대한 법칙은 없을까?
거창하게 전세계의 문명을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 한것이 토인비의 역사의 연구라면
이 책 조직의 성쇠에서 사카이야 다이치 또한 일본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나름의 답을 찾아 제시한다.
세계적 대석학의 책과 다른 이 책의 매력은 무엇일까 돌아보면
나름대로 일본인들의 고유한 민족성이 가진 한계를 드러냈다는 점이다.
자신들이 잘 아는 역사의 위인들이나 사건들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곧 민족성 불변의 원칙에 따라 현재진행형의 이야기가 된다.

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을 침공해야 했을까?
이는 도요토미의 세력이 지속적으로 성장의 단물에 매료된 중독증 환자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성장을 지속해야만 따르는 부하들에게 당근을 계속 나누어 줄 수 있었기에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라도 성장은 해야 한다. 그래서 일본이라는 섬나라가 다 통일되니
밖으로 나갈 수 밖에 없었다.
반면 도쿠가와는 이러한 조직 구성의 문제점을 잘 알고 성장지향적 인물들을 과감히 내친다.
가장 가깝고 충성스러웠던 인물들까지 비정하다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그렇게 해야만 했다.

대 러시아제국의 해군을 겪었던 쓰시마해전의 성과를 고스란히 물려받은 일본의 해군은
태평양 전쟁에서 미드웨이 해전에서 참패를 겪게 된다.
과거의 성장 체험에 매몰되어 자기 변혁의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무릇 신을 모시고 사는 사회는 변화가 적다.
모든 것을 신의 탓으로 돌리기에 책임지려는 사람도 적다.
결과적으로 자율성은 떨어지고 개선의 노력이 없기에 변화의 움직임 또한 무척 적다.
이러한 사회에서 변화를 외치는 사람은 왕따가 된다.
바로 우리 한반도 건너편의 사회가 그렇다. 살아있는 신을 모시기에 그들은
자신이 하는 노력이 과연 유용한 것인가 물음을 갖지 못하고 그들의 피라미드를 쌓고 있다.

쇠퇴하는 산업을 붙들고 보상만 외치며 물고 늘어지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농업이 지금 겪고 있는 문제를 일본은 조금 더 앞에서 겪었는데
그 예로 들고 있는 것이 바로 석탄산업이다.
영국도 마찬가지인데 결론은 뻔히 나와 있다. 대처의 승리, 석탄산업의 몰락은
영국,일본,한국 모두 똑 같이 발생한 현상이고 타 산업들에도 고스란히 적용될 것이다.

독서는 창조적이어야 하는데 아마 이 책에서 발견되는 현상들 또한
한국에도 고스란히 나올 수 있는 주제들일 것이다.
독서를 조금 더 나아가면 성쇠에서 나온 교훈으로 성장을 조금도 오래 끌고
쇠퇴를 조금 더 늦출 수 있는 노하우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적 성쇠의 법칙을 기대하며 독서를 계속 발전시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