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빠와 함께 수학을
강석진 지음 / 해나무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는 미국 예일대에서 수학 박사를 했고 서울대에서 교수로 가르치고 있으니
다들 부러워한다. 그러면서 물론 본인 아이들 수학도 잘 가르켰겠지 하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건 왠일인가 수재들 모아놓고 가르치기 보다 어린 아이 가르치는 것이 훨씬
어렵다는게 저자의 변이다.
처음 10개 20개 그림조각 맞추기를 잘 하길래 갑자기 영재성 발견한다고 60개짜리를
주어주니 아이가 제대로 못한다. 그걸 보고 다그치니 질려서 아예 그림조각에는 손을 안대게 된다.
수학문제 풀면 게임 시켜준다고 거래를 해놓고 보니
다풀고 열심히 게임 하길래 와 기득하다 쳐다보니 답을 고스란히 베껴놓은 것이다.
학원 가라고 돈 대 주었더니 가지 않아서 학원에서 전화가 왔다 그런데 본인은 다녀왔다고
거짓말까지 한다. 홧김에 두들켜 패고 책을 찢겠다고 협박한다.
나이가 들수록 방문을 걸어잠그고 버티는 일이 늘어난다.
다들 발견하게 되는 주변의 부모와 아이의 갈등 그대로이지 독특한 건 별로 안보인다.
왜 이렇게 중요한 걸 모를까, 이걸 해야 나중에 크게 되는데 하는 물음은 부모의 마음이지
아이의 마음은 아니다.
수학과 교수라고 하니 주변에서 물음도 많이 들어온다.
2살 아이의 영재성을 발견했다고 확인해달라고 하니 이건 뭐 병아리 뭐 만져서 암수 구별해내는
감별을 기대하는 것 아니냐고 묻는다.
아들을 최소한 과학고는 보내야하겠다고 입시요강을 살펴보니 미리미래 제대로 준비가 안되었다고 한다.
덕분에 외고로 방향을 틀었더니 입학시험을 합격하기 위해서 학원을 다녀야 한다고 한다.
이런 것 하나 하나가 부모의 마음을 이용한 사교육이 부풀려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면 정말 수학을 잘하는 왕도는 있을까? 수학의 노벨상이라는 필드상 수상자에게 기자가 물으니
씩 웃으며 하는 답변은 그런게 있다면 나를 가르켜달라고 한다.
예전에 알렉산더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한 질문과 똑 같이 답이 오는 것이다.
그리고 제대로 된 답은 당신이 하는 일을 소중하게 여겨라이다. 더 해서 좋아하는 일을 찾아라
그리고 매진하라라는 아주 아주 흔히 들었던 말이 돌아온다.
다시 한번 깨닫게되는데 진리는 정말 평범한 곳에 머무르는 것이다.
본인이 자신의 노력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는다면 어느 것도 이루기 어려울 것이다.
그 진리에 대한 깨달음을 알게 해주는 것이 주변사람의 역할이고 나머지는 스스로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너는 소중한 존재다. 가능성 있는 존재다.
그러니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를 낮추지는 마라. 하나를 풀고 만족하지 말고 또 다음에 도전하라
그렇게 꾸준히 하다보면 무엇인가를 이룰 것이다.
너무 유행을 따라가려고 하지도 말라. 학문의 중요한 본질은 독창성이고 이는 스스로 생각하는
힘에 의해 나온다.
축구공 위의 수학자라는 전편의 책도 재미있었는데 이 책 또한 자신의 소중한 자녀교육 체험에
대해 주변에 가르켜주는 좋은 시도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