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공부벌레들 - 전국 성적 1% 학생들의 성공학습 비밀노트
와이즈멘토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05년 9월
평점 :
한국만큼 학습에 대한 열정이 강한 나라도 별로 없을 것이다. 유아교육부터 시작해서
대학입시 이제는 취업전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험을 치르기 위해 사람들은 매달린다.
이 과정에서 문제는 요령을 찾는다는 점이다. 나에게만 주어질 수 있는 왕도는 없는지에
가장 큰 관심을 갖는다. 이건 너에게만 이라는 말에 혹하는데 대체로 그런 내용들은 속임수일
가능성이 많다.
최근에도 우수한 성취를 보여준 학생들의 - 박원희 등등 - 책이 많이 쏟아져나왔는데
조건이 다른 상태에서 그 학생들의 방법이 다른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보장하기는 어렵다.
이 책은 수재라 불릴 수 있는 1% 내에 들어가는 학생들을 폭넓게 인터뷰해서 만들어졌다.
공부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두루 다루었는데 인상 깊고 차별화되는 부분들이 몇몇에 있었다.
예를 들면 <학원을 떠나라>라는 책의 주장처럼 학원이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잘 활용해서 공교육의 모자란 점을 채울 수 있다고 학생들의 말을 빌어 강조한 경우도 있다.
또 일반 학교에서는 수업시간에 거의 배울게 없었고 혼자 계획을 세워 공부해야만 했다는
일반고 출신 우수생의 말은 한국의 교육관료들이 귀를 기울여야 할 일이다.
그럼 이런 학생들이 어디로라도 가야할까? 역시 학원이다.
반면 특목고 출신들은 우선 특목고 입학을 위해 공부하는 과정에서 일찍 경쟁을
몸으로 체득하고 공부하는 요령 또한 빨리 깨닫는다고 한다.
또한 들어갈 경우 비슷한 유형의 학생들과 치열한 눈치보기 내지 경쟁으로 자기를 채찍질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으로 몰려간다.
그리고 공부를 잘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은 동기부여라고 한다.
부모가 어렵게 마련해준 학원비를 헛되게 쓰지 않으려고 열심히 공부한 학생,
막연했던 목표가 구체화되면서 깨달은 점 등등이 긍정적이라면
부모가 자신들의 허영을 위해 아이들을 들볶으면 추락 또한 매우 빠를 것이다.
학습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이 두루 두루 담겼고 되도록 객관적으로 여러 주장들을
비교해보고 검증해보려고 했기 때문에 괜찮은 책으로 나왔다고 보여진다.
이 책의 저자인 와이즈멘토는 진로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라고 하는데
한국에서도 서서히 미래에 대한 상을 그려가며 오늘을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이 서비스가
잘 되기를 기대해본다.
내가 대학갈 때만 하더라도 경제학과나 경영학과가 거기서 거기야라고 진로지도하는
선생님들이 태반이었다. 지나가보면 꽤 아쉬울 뿐이다. 한번 시작하면 방향 틀기 어렵게
만들어놓은 사회이기 때문에 더욱 미리 준비하는게 좋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