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메디치 WEA 총서 4
김시덕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독특한 책이다.

범위도 넓고 시야도 넓고 무엇보다 참신하다.

범위를 보면 한국을 중심으로 일본,중국이 들어가는 건 당연하고 남쪽으로 필리핀,인도까지도 들어간다. 북으로는 러시아와 미국이 나온다.

이 넓은 공간에서 50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벌어진 여러 사건들이 쉬지 않고 나타난다.

사건이란 평온함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특이한 이벤트다. 주로 힘을 가지고 상대를 제압하여 자기의 이익을 취하려는 욕망에서 나타난다.

떄로는 작게 보이는 도구가 이 욕망을 자극한다. 일본의 작은 섬 다네가시마에 도달한 조총이 임진왜란을 벌였다. 

대항해시대라는 큰 흐름이 만들어진 이후로 우리는 한 나라의 역사를 일국의 관점으로 기술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알게 된다.

그리고 상호작용이 커지고 서로에게 부정적 자극을 주게 될 때 서로를 보는 시각차는 매우 커진다. 임진왜란을 놓고도 한국에서는 징비록만 해도 꽤 참신하니 잘 알아보자고 한다. 덕분에 드라마가 나오고 후손인 풍산 류씨 집안에서 후원을 한다.

하지만 먼 훗날까지도 중국에서는 류성룡을 암혼한 군주 선조를 더 혼미하게 만든 간신이라는 기록이 더 유행했다고 한다. 반면 전쟁의 상대 일본에서 오히려 높게 평가되어 책이 출간되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정작 깨달은 바는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이 책을 통해서 새로 알게된 사실들이 너무나 많아서 일일이 열거하기도 힘들다.

청이 끝까지 저항한 몽골 준가르 부를 절멸시켰다는 기록은 섬뜻하다. 아마 남한산성에서 김상헌의 지론을 따라갔다면 조선에서도 비슷한 역사가 전개되었을 수 있다. 지조는 있으나 그들은 역사에서 소멸되고 말았다.

에조공화국? 일본 훗카이도에 잠시 만들어진 막부파의 유산.

타이완민주공화국. 청일전쟁 후 잠시 나타난 정체.

수많은 주체가 명멸된다.

근대의 역사를 만들어가는데 주역은 서양이고 이들에 비해 약해졌지만 중국과 일본이 활약하지만 조선의 선조들의 모습은 아쉬운 점이 많다.


이 책의 저자 김시덕 박사의 큰 장점이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무엇보다 그가 역사로 시작하지 않고 문학으로 접근했다는 점이라 나는 결론내었다.

문학은 더 다양한 시각을 담을 수 있다. 반면 역사는 사관이라는 강력한 프레임으로 사실들을 재단한다.

비슷한 예가 카이스트 전봉관 교수다. 문학을 통해 일제시대를 재조명한 그의 노력은 감탄스러웠다.

김교수의 이 책 또한 한국사를 만들어가는 학자와 주체들에게 매우 참신한 자극을 준다.

좁고 약할수록 우물안 개구리가 되면 안된다.


요즘 보면 아베의 정치적 언설을 비판할 수 있지만 결국 승패는 노믹스에서 난다.

경제전쟁의 반전을 위해 취한 그의 퍼포먼스를 제대로 이해 못하면서 감정적으로만 대응하는 애국자들이 사태를 더 악화시킨다.


무릇 현명함은 제대로 된 자기 인식에서 나온다.

이 책의 폭 넓은 인식이 넓게 알려지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