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후 3년
신현만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회사생활을 어떻게 시작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훌륭한 지침서다.
기자생활을 거쳐 헤드헌터 회사 대표로 재직하며 여러사람들의 경험을 잘 정리해서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형태로 모아 보았다.

하나 하나의 지침 속에 상담을 통해 획득한 지식들이 사례로 정리되어있고
핵심이 잘 녹아있기에 쉽게 와닿는다고 할 수 있다.

예전에는 대기업들이 대규모 채용으로 공통된 가치를 가진 하나의 집단을 만들어갔지만
지금은 그런 모습은 거의 사라져가고 있다.
반면 끊임없이 준비된 인재에 대한 요구를 하는 바람에 학생들은 졸업을 앞두고도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다.
크게 보면 교육의 질 내지 방향과 사회의 요구가 서로 맞지 않아서 나오는 문제라고도 할 수 있고
사회가 이제 신자유주의 철학에 입각한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어서기에
더 이상 많은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하지 않으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어쨌든 이제는 조직에 들어가면 알아서 키워주는 상황은 더 이상 아니다.

열심히 일했다고 해도 핵심인재와 그렇지 못한 인재의 차별은 존재하고
교육기회 또한 보상 보다는 스스로 알아서 자기 돈으로 해외 MBA 등에 투자하기를 원한다.
그렇지만 MBA가 무조건 답일까? 이 책에서는 그것도 쉽게 결정할 사항은 아니라고 세세히 충고한다.
몇몇 성공사례에 눈높이가 올라가서 한꺼번에 가려고 덤벼들지만 실상 나와서의 모습은
그렇게 장미빛은 아니라고 한다.

또 사람들을 압박하는 것은 평가가 점점 빨라지고 냉정해진다는 점이다.
심지어 초등4학년에 평생성적이 결정됩니다고도 하는데 이 책 또한 3년이라는 시한으로
독자에게 다급함을 강조한다.
그럼 3년이라는 시간을 어떻게 정한 것일까? 대체로 초기 평가가 마무리지워지는 시간이라고 보인다.
내 경험에서 보아도 조직에 대한 적응도, 일에 대한 자세 등은 분명히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는
조금 더 책임감 있는 일을 줄 때 제대로 수행하는지 역량의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거기서도 성공한다면 점점 올라갈 수 있는 인재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한국사람이 만든 캐리어 관련서 중에서는 가장 충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약점을 지적한다면 통계가 없다. 이런 유형의 캐리어가 있는데 성공하려면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는가? 이런 물음을 다루지는 않았다.
다 읽고 나서 캐리어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독자들도 공감하지만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어떻게 해야하는지는 또 다시 고민이 들어갈 수 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