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 실제 사마의가 왕조를 찬탈할 있는 힘은 무엇이었을까? 크게 두가지를 있다.먼저 사마의가 자녀 교육을 해서 아들들을 하나 같이 뛰어난 인재로 키웠다는 점이다. 조조가 자식대에서 분열하고 결국 손자 대에서 무너진 것과 비교해보면 사마의 일가는 똘똘 뭉쳐서 조씨를 물리치고 자신들의 왕조를 성립시키는 단결력과 솜씨를 보였다.

둘째로는 역시 오랜기간 군무를 함께하며 만들어진 군맥이었다. 전장터에서 맺어진 인연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다. 적을 앞에 놓고 서로 서로 목숨을 의지하는 사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인맥이 된다. 로마의 캐사르가 갈리아에서 함께 싸우면서 키웠던 군대를 발판으로 공화정을 뒤엎었듯이 사마의 또한 제갈량과의 오랜 싸움에서 단련된 군맥을 자산으로 활용했다.

 

사마의의 최후 싸움은 조씨 인척들과의 대결이었다. 워낙 커졌던 권한에 대한 견제로 조씨 가문의 인척들은 사마의를 강력히 견제하려고 했다. 그래서 사마의를 태위로 추대했는데 자리는 명예는 있지만 실질적인 병권은 없는 자리다. 이렇게 강력한 견제에 일단 몸을 낮추었고 상대방의 오만방자함을 가만히 지켜보았다. 오랜시간 은인자중 기다리면서 상대가 방심할 때까지 기다렸다. 조용히 힘을 아꼈다가 밖으로 사냥을 것을 기회를 잡아 기습을 해서 도성을 장악해버렸다. 여기서 사마의의 상대는 조상이라고 이라는 유명한 장군의 아들이었다. 집안 또한 오랜시간 동안 군무를 담당해왔기에 믿고 따르는 이가 많았다. 이들 심복들은 조상에게 이왕 천자를 데리고 나왔으니 아예 외곽으로 이동한후 수도 바깥의 군대를 동원해서 사마의와 맞서 싸우자고 했다. 하지만 조상은 생각보다 유약하고 결단력이 없는 인물이었다. 싸움이란 자신의 모든 것을 걸어야 간신히 이길 있을지 말지 여부가 결정된다. 그런데 귀족 출신으로 순탄하게 누릴 누리며 올라온 사람들은 자신이 갑자기 잃을지도 모르는 기득권을 먼저 고민한다. 덕분에 잃을 있는 쪽으로 선택하려고 하지만 때로는 그런게 죽음으로 이르는 길이다. 어쨌든 이미 전쟁터에서 수십년간 쌓아놓은 사마의의 위명이 두려웠던지 조상은 싸우는 길을 선택하지 않았다. 대신 적당히 노후를 보장해준다는 상대의 감언이설에 넘어가버렸다. 아무리 주변에 사람이 많아도 결국 최후의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은 지도자일 밖에 없기 마련이다. 지도자가 그릇된 결정을 내리게되면 수하에 뛰어난 인재가 있다 하더라도 다같이 무너질 따름이다. 가깝게는 원소가 그런 예가 것이다. 그리고 결국 약속을 어긴 상대에 의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며 후회를 밖에 없게 된다.

 

조상을 제거하면서 사마의는 자신의 역할을 했지만 권력은 고스란히 아들들의 수중에 남겨주었다. 이미 역심을 품었기에 중도에서 멈추면 일가족 모두가 몰살당할 밖에 없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 사마의가 떠났지만 아들들은 싸워나갔다. 특히 조상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우선 관구검과 문흠이 이탈하며 반기를 들었다. 두사람이 장악하고 있던 지역은 두개 주에 걸쳐 넓었고 수춘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지역 또한 원술의 본거지로서 중앙과는 오랜 적대관계에 놓인 곳이었다. 난리를 평정하고 얼마 지나자 이번에는 고분고분하지 않던 제갈탄을 압박해서 제거하게 되었다. 전쟁 모두 쉬운 싸움은 아니었지만 수행해냈다. 번째는 사마소가 무려 26만의 군대를 일으켜야만 해결할 있었다. 다른 지역 거의 전부에서 끌어들인 병력이었기에 어려웠던 면을 이해할 있다.

 

하지만 그렇게 어렵사리 왕조를 수립하고 천하를 통일한 사마의의 가문도 모두 후일 팔왕의 난을 거치면서 서로 싸워 몰락하게 되었다. 결국 권력의 세계에는 결국 아무것도 영원한 것은 없다는 무상함을 깨닫게 해주는 장면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