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비용 제로 사회 - 사물인터넷과 공유경제의 부상
제러미 리프킨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프킨은 선각자다.


시대를 내다보는 혜안을 가지고 자신의 주장을 강력한 메시지로 응축하여 발표해왔다.

그렇지만 노년에 올수록 그의 메시지가 모두를 다 만족시키는지는 의문이 들어간다.

유러피안 드림에서 3차 혁명에 이어 이번에 나온 한계비용 제로 사회까지 시리즈는 유럽에서 벌어지는 여러 사회,경제적 흐름을 반영한다.

특히 공감의 복원에서 이제는 협업적 공유로 진화된 개념은 새롭기도 하고 오래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AirBnB,우버 등 다양한 공유경제 서비스가 급속도로 세상을 바꾸는 것은 새로움이다.

반면 협력과 공유를 통한 공존은 아담 스미스가 그의 책 국부론에서 자본주의 이전의 사회상으로 묘사한 것이 반복되는 듯한 오래된 느낌이 든다.


자본주의 이전과 자본주의, 그리고 리프킨식의 이후를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다.

자본주의는 말 그대로 탐욕, 그리고 이를 위한 헌신에 무게를 둔다. 멀리 사마천이 징그러운 누에를 손에 잡는 여인에게 욕망이 없다면 가능하겠는가라고 묻는다. 수많은 벤처들이 날밤을 새면서 청춘을 불태우는 것도 매한가지다.

이들이 아니라면 끊임없이 혁신해가는 경제는 어려울 것이다.

반면 기업이 모두 소화하지 못하는 삶도 늘어간다.

구체적으로는 취업전, 그리고 조기퇴직 후의 삶이 그렇다.

이들에게는 공유와 협업이 충분히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아니 되는 것이 옳다.


그런면에서 이 책의 주장을 한 방향으로 받아들이려 한다면 논란이 일어날 것이다.

당장 리프킨의 찬양했던 유러피안 드림은 지금 저생산성으로 쇠퇴해가는 유럽의 모습을 보면서 빛이 바래진다. 미국이 주도하는 쉐일혁명으로 에너지 가격이 내려가면서 유럽에서 야심적으로 추진한 미래형 에너지 기술 또한 실효성이 내려간다. 오히려 위험을 감수하고 원자력을 만들어 세계에서 가장 싼 전기를 공급하는 한국의 기업이 더 경쟁력이 있다.


그래서 책은 현실과 대비시켜가면서 읽어감이 좋을 것 같다.

예전에 그린 산업에 종사하는 지인 한 명이 리프킨을 혹독하게 비판한 적이 있었다. 멋진 애드벌룬을 띄우지만 막상 가보면 트렌드가 지나가면서 거품 속에서 헤매도록 만들었다는 울분이었다.


누군가 거품을 일으켜주거나 전쟁을 하지 않는 한 현재의 저성장이 쉽게 해결되지는 않을 것 같다. 그 속에서 생존하면서 인간의 좀 더 나은 삶을 살려면 협업하면서 가진 것을 공유해보자는 생각은 꽤 괜찮은 대안이긴 하다. 그 실험은 어떻게 만들어가면 될런지라는 생각이 머리에 남으며 독서를 마쳤다. 

그리고 물음은 주변사람들과의 토론 속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