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욕 경제 - 부의 분배 메커니즘을 해부하다 화폐전쟁 5
쑹훙빙 지음, 홍순도 옮김, 박한진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우리는 새로운 규칙에 적응해야만 했다.

한편에서는 공포스러운 현실이 지나갔고

좀 지나니 위기가 기회라고 사상 최대의 무역흑자가 나고 있다.

고개를 들어 머리 위 세상을 쳐다 보면 놀라운 마법사가 희한한 마법을 부리고 있었다.

일을 다르게 하기는 어려워도 말을 다르게 만들기는 쉬운 것 같다.

양적 완화, 테이퍼링 등 현란하게 쏟아져 나오는 단어들의 내용은 잘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렇지만 미국의 부동산은 올라주고 실업률도 떨어져주고 주가는 사상 최고로 올라간다.

그럼 모든 문제는 잘 해결된 것인가?

화폐전쟁의 새로운 책은 여기에 대해 생각을 더 해보라고 자극을 준다.

저자는 우리를 여러 곳으로 데려간다.

먼저 월가의 채권 트레이딩 룸이다. 여기서 마켓메이커와 큰 손들이 서로 주고 받으면서 금리를 결정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장면이 더 궁금한 분들께는 <마진콜>이라는 영화를 추천드린다.

전화로 수십억불의 채권 거래를 성사시키며 막대한 보너스를 챙기던 이들이 어느날 갑자기 시장을 아예 망가뜨려버리자고 나서는 장면은 오래도록 잊혀지지 않는다.

버냉키의 언론쇼, 좀 지나서 FRB의 전산에서 한 줄 입력이 되면 은행들 계좌에 막대한 금융 머니가 입고된다. 그리고 이 돈이 돌고 돌아 <겨울왕국>에 온기를 퍼트리는 마법이 이루어진다.

엘사가 따로 있나? 버냉키가 엘사와 같은 마법사다.


이제 저자는 우리를 로마와 송나라로 데려간다.

두 거대 제국의 몰락의 원인과 과정을 소소하게 보여주면서 자연스러운 결론으로 유도한다.

화폐는 마법이지만 남용하면 독이 되어 자신을 망가뜨린다는 것을..

로마와 송 모두 금융 과두의 등장이 사회를 황폐화시켰다는 점을 잘 보여주었다.

왕안석은 늘 논란이 있던 인물인데 이 책을 통해 그의 개혁에 대해서 확고한 이해가 되었다.


그리고 이런 비판에는 현대 미국은 물론이고 중국 또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시진핑이 처음 들어와서 확 퍼져나간 단어가 <중국몽 = 차아니 드림>이다.

꿈은 처음에는 좋게만 느껴진다. 하지만 어느 순간에 꿈 자체만 쫓아가게 된다.

수단은 사라지고 결과만을 갈망한다.

한국 드라마 <별그대>가 중국에서 더 인기를 끌었던 것이 과연 좋은 현상일까?

우주인이나 만족시켜줄 수 있는 거대한 꿈을 모두 꾸는 것이 타당한 일인가?

꿈만 커진 사회의 뒤안에는 엄청난 투기, 땅장사로 돈을 쌓고 있는 중국 정부 등 부정적인 면들이 잇달아 드러난다.


앞날은 어떻게 열릴 것인가?

미국이 금융정책을 어떻게 조종해가면서 비행기를 바닥에 추락시키지도 위로 올려 태풍에 휩쓸리지도 않게 할 지는 잘 모르곘다.

높이면 인플레, 낮추면 디플레라는 양날 사이를 위태위태 걸어가야 하는 운명이 쉽게 보여지지는 않는다.


중앙은행장들의 마법은 버냉키에 이어서 아베노믹스를 탄생 시켰다. 그 바람에 한국에서도 뭔가 해보자는 식으로 초이노믹스가 탄생했다.

배당기대감으로 올라가는 주식은 미국의 자사주 매입에 따라 올라가는 모양새와 너무나 비슷하다. 기업에게 돈의 가장 큰 목적은 투자일 것이다. 기업은 모험을 하도록 만들어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배당과 자사주매입은 오직 주주만을 위하는 듯 보여진다.

이 마법이 겨울왕국 처럼 해피엔딩으로 끝날지는 두고 볼 일이다.

현실은 <겨울왕국> 보다는 <마진콜>에 더 가깝지 않을까?

갑자기 피케티가 떠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