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을 위한 독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144 권을 모은 브리태니커의 선집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주변에서 한군데 아버님이 언론계 출신으로 국회의원을 지내신 댁에 가보니 있었다. 집어오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지만 참았다.

선집에는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영어문화권의 작품이 주종을 차지하게 되는데 동양과 한국의 작품을 일부 보완하고 신서를 가담시키면 좋은 컬렉션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에 맞추어 사상 전집의 편집도 이와 같은 형태로 확장이 돼주면 좋은데 출판계의 풍토가 아직 힘든 같다.

 

144 권이라는 규모는 무척 크게 느껴지지만 막상 따지고 들어가면 그렇게 많은 분량도 아니라고 있다. 하지만 제대로 읽자고 하면 결코 작은 수량이 아니다. 권을 일단 400 페이지 정도로 가정하고 시간당 40 페이지 읽는 속도라면 10 시간 정도가 한권의 독서에 소요된다. 책을 번의 독서만으로 소화한다고 자신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고 두세번 읽으려고 들면 30 시간 정도는 쉽게 지나갈 것이다. 책이 요구하는 비용은 이렇다 치고 사람이 지불할 있는 능력을 보자. 자신이 주일 동안 책읽기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가 생각해보면 소화할 있는 전체 수량은 분명하다.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6 시간 이상을 투입해야 매주 쫓아갈 있고 1 년이 52 주니까 해마다 52 권이란 계산서가 바로 나온다. 4 년을 분주히 뛰어다녀도 정해진 테두리는 분명하다. 결국 대단한 노력가나 천재가 아닌 다음에야 같은 독서는 무리다.

모두들 고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하지만 막상 대학교수들도 물어보면 중에서 전공 분야를 제외하고는 소설 정도 읽은 수준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